충북 교사 78% “교권 침해 보호 못받아”… 절반은 근무환경 불만족
[5월 15일 ‘스승의 날’] 10명 중 7명 “정년퇴직 안해” 전교조 “정상적 상황 아니다”
[충청투데이 이용민 기자] 충북지역 교사 10명 중 8명꼴로 교권 침해에 대해 보호받지 못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7명 가량은 정년퇴직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관련기사 3·4·17면
스승의 날을 하루 앞둔 14일 전교조 충북지부가 발표한 교사 근무환경 실태조사(549명 참여) 결과에 따르면 78%가 ‘교권 침해로부터 보호받고 있다고 느끼지 못한다’고 응답했다.
55%는 ‘정서·행동 위기 학생에 대한 과도한 책임을 교사가 홀로 지고 있다’고 했고, 3명 중 1명꼴로 새로운 행정업무에 대한 지원 부족을 꼬집었다.
특히 교육활동보다 행정업무가 우선시되는 현실을 지적한 교사가 61%로, 수업권과 평가권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응답은 45.86%로 각각 분석됐다. 자율연수휴직과 교사연구년제 등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제도가 충분히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응답률은 59%다.
근무 환경과 관련해선 42%가 냉난방 사용 시간의 중앙통제를 경험했다고 했다.
교사들은 무엇보다 학생 수 과밀을 심각하게 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절반에 가까운 42%가 학급당 26명 초과해 수업과 생활지도가 어렵다는 응답한 것이다.
특히 ‘정년까지 교직을 유지하겠느냐’는 질문에 65%는 부정적으로 답했다. 이들은 경제적 이유, 민원 및 아동학대 신고에 대한 불안감, 과도한 행정업무, 교권 하락, 연금 개악으로 인한 생계 불안, 높은 업무 강도로 인한 스트레스와 책임지지 않는 관리자 등을 주된 원인으로 지목했다.
‘현재 근무환경에 만족하는가’라는 질문에 52%(‘전혀 만족하지 않는다’ 14%, ‘별로 만족하지 않는다’ 38%)가 손사래를 쳤다.
전교조 충북지부는 "교사에 대한 지원은 선택의 영역이 아니라 국가의 의무임에도 절반에 달하는 충북 교사들이 근무 환경에 불만족하다고 답하고 있는 현실은 결코 정상적이지 않다"고 했다. 이어 "이런 상황이 교육의 질까지 저하시키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교육 당국은 명심해야 한다"고 했다.
이용민 기자 lympus@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