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반응 조절 ‘단백질 스위치’ 찾았다
KAIST, 감염병대응·자가면역질환 치료 실마리 기대
[충청투데이 윤경식 기자] 국내 연구진이 자가면역질환과 바이러스 감염에서 공통적으로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스위치 역할의 단백질을 찾아내 감염병대응과 자가면역질환 치료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했다.
KAIST는 김유식 생명화학공학과 교수와 차승희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교수 공동 연구팀이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에서 유래한 이중나선 RNA가 면역반응을 증폭시키는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이를 조절하는 슬러프(SLIRP)가 바이러스 감염과 자가면역질환 양쪽에서 ‘면역 스위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증명했다고 14일 밝혔다.
자가면역질환은 면역 체계가 외부 침입자와 자기 조직을 구분하지 못하고 스스로를 공격하는 질환으로 아직 명확한 발병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김 교수 연구팀은 면역 과활성화를 유도하는 분자적 기전을 규명하고 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인자를 찾아내고자 세포 내 기관에서 만들어지는 유전물질인 ‘미토콘드리아 이중나선 RNA’에 주목했다.
연구팀은 실험을 통해 면역 반응을 증폭시키는 단백질 슬러프를 발견했으며 다양한 자가면역질환 환자의 조직과 바이러스 자극을 모사한 실험에서 슬러프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으며 슬러프를 억제했을 때는 면역반응이 현저히 감소되는 것을 확인했다.
또 슬러프가 면역 증폭의 핵심 인자임을 입증하고 슬러프 단백질이 미토콘드리아 이중나선 RNA를 안정화시키고 축적시키는 역할을 해 면역반응이 증폭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김유식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슬러프 단백질이 엠티 디에스알엔에이(mt-dsRNA)를 기반으로 면역반응의 증폭을 유도하는 핵심 인자임을 규명했다ˮ면서 "특히, 슬러프가 자가면역질환과 바이러스 감염에서 공통적으로 작동하는 면역 조절자라는 점에서, 슬러프를 타깃으로 한 면역 균형 조절 전략이 다양한 질환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ˮ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의 공익적 의료기술연구사업과 미국 국립보건연구원 (NIH)의 연구과제(R01)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윤경식 기자 ksyoon1102@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