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박수현 의원이 지역언론 전면적 지원 촉구한 이유
사설
2025-05-01 충청투데이
박수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역언론의 존립 위기를 국가적 과제로 규정하고, 정부에 전면적인 지원을 촉구하고 나섰다. 충남 공주·부여·청양을 지역구로 둔 박 의원은 최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종합정책질의에서 "지역언론 소멸은 대한민국의 소멸"이라며 이렇게 강조했다. 박 의원은 "지금 우리는 지역언론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미디어로 성장하느냐, 아니면 사라지느냐는 중대한 변곡점에 서 있다"고 밝혔다.
지역 언론이 처한 현실을 박 의원이 정확히 꿰뚫어 본 것이다. 이제까지 어떤 정치인이 이만큼 지역언론에 관심을 가졌나 싶다. 지역언론은 안팎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앙집권적 미디어 구조 속에 점차 입지가 좁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지역언론이 고장의 지킴이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음을 부인치 못한다. 지역사회가 추구하는 공공의 선 실현이 바로 그것이다. 풀뿌리 민주주의가 있듯, 풀뿌리 언론이 있다. 지역의 특성에 맞는 뉴스를 생산하고 공급하는 역할이야말로 지역언론의 사명이라 하겠다.
지역언론은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지역이슈를 세계에 전달하는 통로이기도 하다. 바야흐로 글로컬 저널리즘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지역뉴스의 세계화는 솔직히 벅찬 실정이다. 어떻게 극복하나. 정부차원의 전폭적인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 물론 정부가 지역언론에 관심을 갖지 않는 건 아니다. 지역신문발전 3개년 지원계획을 통해 지역언론을 지원하고 있지만 일선에선 예산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AI 인재 양성, 디지털 수익모델 구축, 취재환경 개선과 같은 실질적이고 과감한 재정 확대가 뒤따라야 한다는 박 의원의 주장에 전적으로 공감한다. 굳이 선진 외국의 사례를 들지 않더라도 광고주 및 구독자에 대한 세금공제, 직원 채용 지원 등이 요구된다. 박 의원의 주장이 지역언론과 관련한 정책 논의 과정에서 과감히 반영되길 바란다. 지역언론은 단순한 기업이 아니라 지역사회의 구심체라는 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