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흉기난동 사건… 통합학급제 딜레마 수면 위로

교사노조 “장애·폭력 구분해 접근 필요” 특수교육학생 생활지도 기준 마련해야 통합교육 필요하지만 제도적 지원 필수 전문가 “추가 인력 확충·분리 기준 절실”

2025-04-28     이용민 기자
28일 학생 흉기 난동이 발생한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경찰 등이 사고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 2025.4.28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이용민 기자] 충북 청주의 한 학교에서 일어난 학생 흉기난동 사건과 관련해 통합학급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28일 충북도교육청 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 33분쯤 흥덕구의 한 고교 특수교육 대상자 학생 A 군이 흉기를 휘둘러 이 학교 교장 등 교직원 4명과 행인 2명이 다쳤다.

교사노조연맹은 이날 입장문에서 "이번 일이 특수교육대상학생에 대한 오해와 특수교육의 위축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세심한 제도 개선이 요구된다"면서도 "장애와 폭력은 구분해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모든 학교 구성원의 안전을 위해 특수교육대상 학생에게도 학생생활지도고시, 학생분리지도법이 동일하게 적용돼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3월에는 청주의 한 학교에 근무하는 여교사가 특수학급 중학생 B 군에게 폭행당하는 사건이 일어나기도 했다.

이 교사는 자신의 일상생활 지도에 해당 학생이 불만을 품은 것을 알고 타이르는 과정에서 폭행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수교육 대상자는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따라 특수 교육이 필요한 사람으로 진단·평가된 사람을 말한다.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결함이 있어 대인관계에 어려움이 있거나 일반적인 상황에서도 부적절한 돌발행동이나 감정을 나타내 학습과 일상생활 적응에 도움이 필요하기도 하다.

특수교육 대상자는 일반교실에서 종일 생활하는 경우도 있고, 특수학급을 오가며 일부 수업만 참여하는 경우도 있다.

완전통합학급이냐 부분통합학급이냐는 대부분 학부모의 의견에 따라 결정된다.


한 교육현장 전문가는 "현재 특수교육대상자 학생은 부모들이 통합학급을 원한다면 사실상 분리 조치가 어렵다. 학부모를 설득할 수 있는 객관적인 분리 기준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통합교육 활성화는 필요하지만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대부분 선진국에서는 장애 학생을 분리시키는 특수 교육보다 다양한 학생과 어울릴 수 있는 통합 교육을 추구한다. 졸업 후 장애·비장애 학생 모두 사회에서 더불어 살아가기 위해 필요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다만 제도적 지원이 필수적이다.

전문가들은 "평소 지속적인 상담으로 관리가 이뤄져야 하고 현재 배치로는 밀착형 생활지도가 어렵다. 완전통합학급을 위해서는 담임과 부단임 만으로는 한계가 있는만큼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을 캐어하기 위한 추가 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용민 기자 lympus@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