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현안, 대선 공약 만들기’ 지역 정치권 협력에 달렸다

조기대선, 위기가 곧 기회다 ③충남편 시·도지사, 국회의원들 정치력 발휘 중요 국정과제 현안 반영되도록 한목소리 내야 반영 후에도 여·야 함께 이행 압박 필요

2025-04-23     권혁조 기자
석탄화력발전소. 충청투데이 DB.

[충청투데이 권혁조 기자] 6·3 조기 대선을 기회로 삼아 충남의 새로운 발전 동력을 만들기 위해서는 차기 정부의 이행 의지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지역 정치권의 초당적 협력을 통해 추진력과 정치력을 발휘해야 한다.

석탄화력발전소 폐지 지역 특별법, 제2차 공공기관 이전, 교통인프라 확충, 디스플레이·국방산업 클러스트 조성 등 충남 현안들이 대선 때마다 공약(公約)에 오르지만 공약(空約)으로 끝나기를 반복하는 데는 지역 정치권의 책임이 크다.

그동안 ‘충청홀대론·충청패싱론’ 등이 계속됐던 것 역시 마찬가지다.


이에 전문가들은 지역 현안 해결을 위해서는 시·도지사, 지역 국회의원 등의 정치력 발휘가 대선공약·국정과제 반영은 물론 공약 이행 여부를 좌우할 것이라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권오철 중부대 교수는 "공약은 지역 현안을 각 정당에 건의해 대선공약에 반영하고, 다음 정부의 국정과제까지 담아야 이행 확률이 높아진다"며 "(국정과제 반영까지의 과정에서) 시도지사와 지역 국회의원이 그동안 얼마나 소통을 했고, 정치력을 발휘할 수 있는지가 변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역 현안을 국정과제에 반영할 수 있게 지역 여·야 정치권이 한 목소리를 내고, 국정과제에 반영된 후에는 여·야가 함께 정부의 이행 의지를 압박하는 모습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2009년 이명박 정부시절 충남도지사를 사퇴하면서까지 세종시 설치를 위해 투쟁한 고 이완구 총리와 같은 모습도 필요하다는 게 권 교수의 주장이다.

문재인 정부시절 100대 국정과제에 충남도가 제안한 15건의 정책 제안이 반영됐고, 윤석열 정부시절 국정과제에 담겼던 국립의대 신설, 중부동서횡단철도건설, 국립치의학연구원설치, 육사 이전 등 충남 현안 중 상당수가 좌초된 데는 고 이완구 총리처럼 여·야를 아우르며 지역 현안 해결에 앞장설 수 있는 지역 대표 정치인이 부재한 탓도 있다는 것이다.

지역 정치권은 대선 결과가 나오기 전부터 지역 현안, 공약 이행을 관철시키겠다는 약속은 시기상조지만 여·야가 합심하겠다는 데는 이견을 보이지 않고 있다.

지역 한 정치권 관계자는 "공약 이행은 결국 약속을 지키느냐의 정부 의지 문제다. 정부의 의지가 없다면 의지를 갖도록 만드는 게 정치권의 역할"이라며 "여·야를 넘어 지역 공약이 반드시 이행될 수 있도록 다 같이 한 목소리를 내는 데 힘을 모을 것"이라고 말했다.

권혁조 기자 oldboy@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