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뇌 닮아 똑똑해진 AI… 이미지 인식 정확도 쑥

기초과학硏, 인간 뇌 시각 처리원리 응용 기술 개발

2025-04-22     윤경식 기자
뇌의 시각 피질(a,b)과 인공지능 신경망(c,d)의 정보 처리 구조.기초과학연구원 제공.

[충청투데이 윤경식 기자] 기초과학연구원은 이창준 인지 및 사회정 연구단장 연구팀이 송경우 연세대 응용통계학과 교수 연구팀과 함께 뇌의 시각피질이 시각정보를 선별·처리하는 방식을 응용해 인공지능(AI)의 이미지 인식능력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인간의 시각시스템은 한눈에 사물을 인식하고 중요한 정보를 빠르게 선별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지만 현재의 AI 모델은 이에 대한 한계를 보이고 있다.

기존 AI가 사용하는 합성곱 신경망(CNN)은 작은 정사각형 필터로 이미지를 쪼개 분석하는 구조로 넓은 맥락을 파악하거나 떨어진 정보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연구진은 인간의 뇌 시각피질이 시각정보를 선택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을 적용해 CNN 모델의 성능을 높이는 ‘Lp-컨볼루션’ 기술을 제안했다.

‘Lp-컨볼루션’은 AI가 이미지를 분석할 때 핵심 정보를 우선 파악할 수 있도록 설계된 기술로 각 이미지에 생성되는 마스크(이미지의 중요도를 적용하는 가중치 필터)는 시각 피질의 뉴런처럼 중요 부분을 강조하고 덜 중요한 부분은 배제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윤경식 기자 ksyoon1102@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