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도 겪어선 안될 폭력, 최고의 보호막은 ‘관심’

[4월 20일 장애인의 날] 충청권 장애인 학대 사례 1년간 291건 주변의 관심과 적극적인 신고 매우 중요 자립 지원 확충도 문제 해결 방법 꼽혀

2025-04-18     김지현 기자
이미지=아이클릭아트 제공

[충청투데이 김지현 기자] 한 해 동안 충청권 장애인 학대 사례가 291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이들을 지키기 위한 방안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지역 전문가들은 충청권 장애인들을 학대로부터 지키기 위해서는 장애 인식 개선 교육이 활성화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지난해 보건복지부가 공개한 ‘2023 장애인학대 현황보고서’를 살펴보면 2023년 기준 충청권에서 291건의 장애인 학대 사례가 발생했다.


충청권 학대 의심 사례는 574건에 육박하는 것으로 집계됐는데, 이 중 장애인 학대 행위자는 지인(20.9%), 사회복지시설 종사자(16.5%), 피해자의 아버지(10.1%)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 복지 전문가들은 학대 행위자의 범위가 광범위한 만큼 사회 전반의 장애인 인식 개선 교육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김선숙 대전장애인옹호기관장은 "장애인 학대에 대한 인식 개선이 이전보다는 좋아졌지만, 아직도 갈 길이 멀다"며 "장애인이 마음 놓고 살아갈 수 있는 공동체를 만들기 위한 장애 인식 개선 교육이 사회 전반에서 활성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장애는 전 생애에 걸쳐 있는 만큼, 이들이 차별 없이 안전한 일상을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장애인 학대 피해가 발생했을 때 주변의 관심과 적극적인 신고도 중요하다.

한국장애인개발원 관계자는 "주변의 방치와 무관심으로 학대가 신고되지 않고 피해가 누적되는 경우가 있다"며 "지역사회에서 벌어지는 범죄가 파악될 수 있는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장애인 학대가 발생했을 때 즉각적으로 신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장애인 자립 지원 확충도 장애인 학대 문제 해결 방법 중 하나로 꼽힌다.

시설이나 보호자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은 학대 발생 뿐 아니라 문제의 은폐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어서다.

이에 따라 장애인의 자립을 위한 주거, 일자리 등의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는 것이다.

김현기 대전장애인단체총연합회 사무처장은 "장애인이 혼자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장애인 학대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기도 하다"라며 "장애인이 자립할 수 있는 제도나 지원책이 미온적인 만큼 개선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장애인 관련 시설과 기관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등도 장애인 학대 예방을 위한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지현 기자 wlgusk1223k@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