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뿐인 공약 필요없다 ‘실행 중심 공약’ 이어야

[조기대선, 위기가 곧 기회다 ① 대전편] 공공기관·대전교도소 이전 진척 없어 대선 공약 구체적 대안·설계 필요성

2025-04-17     조사무엘 기자
대전역세권 전경. 대전 동구청 제공.

[충청투데이 조사무엘 기자] 앞으로 대전 발전을 위한 공약은 그동안 반복 돼 온 정치공학적 약속이 아니라, 지역 현실을 반영한 ‘실행 중심 공약’이 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지역 정치권 안팎에서도 대전의 현안들이 여러 차례 대선 공약에 포함됐음에도, 실질적인 진전을 이루지 못한 점을 꼬집고 있다.

지역에 대한 ‘계획의 나열’만 반복된 채 실행력은 부족했던 기존 공약 틀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비판으로 풀이된다.


권선필 목원대 경찰행정학부 교수는 "교도소 이전과 공공기관 이전 문제 모두 지역 입장에선 반드시 필요한 과제지만, 공언했던 윤석열 정부는 3년 동안 어떠한 진척도 없었고 거대 야당 역시 큰 역할을 하지 못했다"며 "실현성 없는 공약만 반복한다면 정치적 신뢰만 잃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지역 공약의 무게는 말이 아닌 결과로 증명돼야 한다"며 "이전 공약들을 반복하기보다는 어떤 방식으로 실천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 대안과 설계가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권오철 중부대 교양학부 교수 역시 "지금 필요한 것은 새로운 공약을 무분별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하겠다고 약속한 것을 완벽하게 마무리하는 것"이라며 "공공기관 이전과 대전교도소 문제는 정치권의 실천 의지를 가늠하는 기준이 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아울러 권 교수는 지역 발전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위해 시도지사와 정치권이 당을 초월해 지역만을 위한 공약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그는 "지역 현안에는 여야가 없다"며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은 해결이 시급한 사안들을 공통의 공약으로 조율해 각 진영의 대선후보에 전달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시도지사들은 정치권과 소통하려는 노력을, 지역 정치권은 그런 시도지사의 노력에 화답해 현안 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여야 한다"며 "현안 해결을 위해 모두가 함께 논의하고 협력하는 모습이야말로 국민과 중도층이 바라는 모습이 아닐까 싶다"고 조언했다.

지역 정치권도 책임 있는 자세를 다짐하고 있다.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 위원장은 "여태껏 탄핵 정국으로 지역 정치권도 서로 공격하기에 바빴다"며 "특히 중앙정치의 싸움이 지역까지 영향을 주다 보니 지역 현안 해결이 부진했던 것이 사실이다. 대전의 현안들이 제대로 추진될 수 있도록 뒷받침하고 견인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제는 본래의 취지로 돌아가 중앙정치의 파쟁은 파쟁대로 하더라도 지역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혜와 에너지를 모으는 노력을 할 것이다"고 약속했다.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 위원장도 "이제는 오로지 지역만을 바라보고 경제와 민생을 살리는 일에 힘을 발휘하고자 한다"며 "당 차원에서 조기 대선 국면을 지역 발전의 기회로 삼고, 해결이 시급한 의제부터 정리해 후보들에게 제안하겠다"고 말했다.

조사무엘 기자 samuel@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