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 인재 육성만큼 중요한 건 ‘유출 방지’

대선 정국, 인재 양성에 방점 둔 정책 공약 연구자 이탈 막을 환경 개선부터 이뤄져야

2025-04-17     조정민 기자
연구원. 그래픽=김연아 기자.

[충청투데이 조정민 기자] 조기대선 정국이 본격화되면서 대선 주자들이 앞다퉈 과학기술 관련 공약을 내놓고 있다.

과학기술 인재 100만 명 양성, AI 단과대학 신설 등 인재 육성에 초점을 맞춘 경쟁적인 공약이 제시된다.

다만 현장에서는 인재 육성만큼이나 이탈을 막고 정착을 유도할 제도 설계가 절실하다고 강조한다.

앞서 제20대 대선을 앞두고도 여야 정당은 과학기술 인재 육성 정책을 제시한 바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청년과학기술인 지원 강화’, ‘여성과학인 경력단절 극복’등을 제시했으며 국민의힘은 ‘장기 연구제도 도입’, ‘연구자 자율성 강화’를 내세웠다.

이번 대선 정국에서도 후보들은 인재 양성에 방점을 둔 대규모 정책을 공약으로 내세우고 있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인공지능(AI) 등 전략산업 육성으로 제2의 ‘과학입국’(科學立國)을 실현하겠다고 공약했다.

안 의원은 AI, 반도체, 미래 모빌리티, 바이오, K-서비스 산업을 5대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고 2035년까지 AI 세계 3강 진입과 과학기술 핵심 인재 100만명 양성 등을 제시했다.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출마 선언 직후 첫 공약으로 ‘AI 100조 투자 계획’을 내놓고 AI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병역특례 확대 방안도 함께 제시했다.

과학·기술·공학·수학 교육 강화와 함께 지역별 거점 대학에 AI 단과대학 설립을 통한 석박사급 전문 인재 양성, AI 분야 우수 인재 병역특례 확대 등을 제안했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도 반도체·로봇·에너지 등 ‘초격차 5대 산업’을 집중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과학기술계 현장 곳곳에서는 이 같은 공약들에 회의적인 분위기다.

대규모 양성 뿐 아니라 연구자가 머무를 수 있는 토양이 먼저 마련돼야 한다는 것이다.

지역 과학기술계 등에 따르면 현장에서는 연구비 삭감, 과제 중심 구조, 인건비 부족 등이 인재 유출을 부추기고 있다.

이는 대학원생 감소, 박사 후 연구 인력 이탈, 신규 연구자 유입 감소로 이어지며 악순환이 반복되는 상황이다.

이들은 인재 양성만 강조하는 공급 중심 정책을 넘어 인재가 머물고 성장할 수 있는 환경 설계가 우선이라고 입을 모은다.

지역 과학기술계 한 관계자는 “정부는 인재를 얼마나 많이 키울지만 말하고 있는데, 사실 떠나지 않게 만드는 게 훨씬 어렵다”며 “지속 가능성의 핵심은 정착이다. 대규모 인재 육성 정책이 있더라도 떠나지 못하게 만드는 장치가 빠진 정책은 실효성이 없다”고 강조했다.

조정민 기자 jeongmin@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