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대선 정국… 대선 주자들 과학기술 정책 부각
이재명, 첨단 과학기술 투자 등 강조 안철수, 과학수도 대전 완성 의지 비쳐 과기계 연구개발 안정적 지원 등 주시 과학기술 생태계·정상화 욱성 기대감
[충청투데이 윤경식 기자] 조기대선 정국이 본격화되면서 대선 주자들의 과학기술 정책관이 지역 과학기술계의 화두가 될 전망이다.
R&D 예산 삭감으로 비판여론이 높았던 윤석열 정부와 대조된 육성책이 나올 것이란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지역 과학기술계에서도 이번 대선 정국을 전환점으로 보고있다.
10일 지역 정치권 등에 따르면 6.3 대통령 선거가 본격화되자 주요 대선 주자들의 출사표가 이어지면서 이들의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정책관도 주목받고 있다.
일부 주자들은 ‘과학기술 육성’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며 R&D 예산 삭감으로 비판에 직면했던 현 정부와 상반된 입장을 취하고 있다.
직전 대선에서 윤 전 대통령과 맞대결을 펼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국회의원(인천 계양을)은 이날 영상 메시지로 차기 대선 출마를 공식화하며 ‘첨단 과학기술 투자’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정부 단위 인력편성’, ‘대대적인 연구·개발투자’ 등을 강조했다.
국민의힘 대선주자 중 한 명인 안철수 국회의원(경기 성남 분당갑)도 지난달 26일 대전시의회를 방문한 자리에서 “과학기술만이 대한민국을 먹여 살릴 수 있는 21세기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며 과학기술 육성과 ‘과학수도 대전’ 완성에 대한 의지를 내비쳤다.
출마선언을 마친 대선주자들의 분야별 공약발표가 한층 본격화되는 가운데 과학기술계에서도 제도개선 등 구체적인 과학기술 정책의 가시화를 기다리고 있다.
이광오 공공과학기술연구노조 정책위원장은 “연구개발에 대한 안정적인 지원, 연구전략 수립에서의 현장의견 수렴 구조 등이 각 후보의 정책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지켜볼 것"이라며 “세부적인 정책공약 점검을 통해 후보들의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생각을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이어 김재성 전국과학기술연구전문노조 위원장은 “현재 출연연은 일반적인 공공기관과는 다른 특성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 공공기관과 같은 시스템을 통해 운영되다보니 인력에 대한 통제를 받고 있어 우수한 인력 유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이에 대한 법령이나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보고 이러한 부분이 공약에 반영되는지를 지켜볼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선거과정에서 ‘원전 대 탈원전’ 논쟁 등 과학기술이 정치적 사안으로 다뤄지기 보다 과학기술 생태계의 정상화와 육성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길 바란다는 의견도 나왔다.
지역 과학기술계 관계자는 “탈원전 이슈처럼 정치적인 입장에 따라 정책의 방향이 좌우되는 것보다 과학기술의 지속적인 투자와 육성이 이뤄지는 것이 중요하다”며 “정권의 방향과 상관없는 안정적인 정책 추진과 과학기술 육성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윤경식 기자 ksyoon1102@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