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파면’에 투쟁 본격화하는 의료계… 의정 갈등 재점화 하나
의협, 20일 의료정책 중단 촉구 총궐기대회 예고 전국 시도의사회도 참여방식·대응방안 등 논의 “여론 평가 미지수” 지역 의료계 기대·우려 교차
[충청투데이 함성곤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 이후 의료계가 단체 행동을 예고하면서 교착상태에 놓였던 의정 갈등이 또다시 분출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역 의료계 역시 대한의사협회(이하 의협)의 방침에 발맞춰 참여할 뜻을 밝혔지만, 일각에서는 대통령 파면이라는 정치적 격변 이후에야 움직이기 시작한 의협의 대응을 두고 회의적인 시각도 제기된다.
7일 지역 의료계에 따르면 의협은 지난 4일 윤 전 대통령 파면 직후 긴급 상임이사회를 열고 오는 13일 전국대표자회의를 소집한 데 이어 20일에는 서울에서 전국 단위의 총궐기대회를 열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충청권을 포함한 전국 16개 시도의사회도 구체적인 참여 방식과 대응 방안을 논의하고 나섰다.
이날 오후 1시 열린 전국 시도의사회 화상회의에는 대전·세종·충남·충북 등 충청권 4개 시도의사회도 참석해 대응 방안을 공유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충청권 의사회 관계자들은 “의협의 결정에 발맞춰 지역 의사회에서도 적극 협조할 예정”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주병 충남도의사회 회장은 “의협의 대응 기조에 따라 지역에서도 적극 협조할 계획”이라며 “다만 탄핵 이후 정책 주체가 공백 상태가 된 상황에서 어떤 방식으로 대응할지 모호한 부분이 많아졌다”고 말했다.
이어 “의대 증원을 밀어붙였던 주체가 사라진 지금, 학생들의 유급이나 제적과 같은 피해가 현실화하지 않도록 이성적이고 상식적인 수준에서 논의가 재개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전 대통령 파면 이후 조기 대선이 거론되는 가운데 지역 의료계는 새 정권에서 의정 갈등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다만 여야 모두 의대 정원 확대의 필요성에 공감대를 형성해 온 만큼, 정책 갈등이 다시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앞서 지난 2020년 문재인 정부 시절에도 의대 정원 확대 방안이 추진되면서 의료계와의 극한 대립 끝에 총파업 사태로 번졌던 전례가 있기 때문이다.
의협은 이번 궐기대회를 통해 붕괴된 의료환경의 조속한 회복과 정부의 책임 있는 조치를 촉구하겠다는 계획이지만 일각에선 회의적인 목소리도 감지된다.
그동안 의정 갈등의 최전선에서 협상력이나 중재력을 보여주지 못한 의협이 정치적 이슈가 발생한 뒤에야 본격적인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했다는 것.
지역 의료계 한 관계자는 “지역 의사회로서는 협조가 당연하지만, 일반 회원들 사이에서는 ‘이제 와서 움직이냐’는 자조적인 목소리도 있다”며 “정치적 혼란이 있었던 만큼 의협의 전면적인 대응이 부담스러웠을 수 있겠지만, 현재의 단체행동을 여론이 어떻게 평가할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함성곤 기자 sgh0816@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