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 청주공항 민간 활주로·시설 확충·권역 변경 제안
충북도 공항개발 계획 제안서 제출 슬롯 제한 이용객 증가 수용 한계 오는 2040년 대비 시설용량 확대 경기 포함 중부권 거점 역할 강화
2025-04-01 김영재 기자
[충청투데이 김영재 기자] 충북도는 청주국제공항 민간항공기 전용 활주로 건설 사업 등 3개 사업의 국토교통부 ‘제7차 공항개발 종합계획(2026∼2030)’ 반영을 위해 사업제안서를 한국교통연구원에 제출했다고 1일 밝혔다.
이날 충북도에 따르면 공항 개발사업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추진과 향후 공항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공항개발 종합계획’은 ‘공항시설법’(제3조)에 따라 5년 단위로 수립하는 공항 분야 최상위 법정계획이다.
국토교통부는 제7차 공항개발 종합계획을 올해 12월 고시할 예정인데, 한국교통연구원이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을 수행하고 있다.
충북도는 이번에 민간 전용 활주로 건설, 공항시설 확충, 권역(위계) 변경 등 3가지 사업을 제안했다.
민간 전용 활주로 건설 사업은 지난 2023년 8월 김영환 지사의 성명서 발표를 시점으로 시작된 것으로, 민선8기 충북도정 중점사업이다.
충북도는 이 사업과 관련, 청주국제공항은 민군 복합공항(청주기지)으로서 민군 공용활주로를 사용 중이며, 민간항공기가 시간당 이착륙할 수 있는 슬롯이 7~8회로 제한돼 있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이용객을 수용할 없어 이에 대비하기 위한 사업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청주공항의 슬롯은 인천 75회, 김포 41회, 김해 18~26회, 제주 35회 등에 비해 현저히 적다.
반면, 이용객은 연평균 12.1%씩 증가했으며, 지난해엔 전년 대비 24% 급증한 458만명에 달했다.
국제선과 국내선 여객터미널 확장, 제2주차빌딩 신축, 주기장 확충, 활주로 재포장, 활주로 운영 등급 상향(CATⅠ→CATⅡ), 활주로 길이 연장 등이 이 사업에 포함됐다.
권역(위계) 변경은 충청권과 경기권을 아우르는 중부권 거점공항으로서의 위상과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사업이다.
현재 인천과 김포, 청주가 같은 중부권역에 포함돼 있어 수도권(인천·김포) 공항에 정부의 정책적·재정적 지원이 집중된 상황이다. 충북도는 권역 변경이 되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연결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충북도 관계자는 "이번 제안 사업은 민군(民軍) 복합공항의 제한사항을 극복하고 공항 활성화를 통한 지역 발전 및 국가 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그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 청주국제공항 민·관·정 공동위원회를 중심으로 100만명 서명운동, 대정부 건의 및 결의대회, 토론회 등으로 제7차 공항개발 종합계획에 제안 사업이 반영되도록 총력을 다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재 충청지역 정치권 및 지역 각계가 제7차 공항개발 종합계획에 청주국제공항 민간 전용 활주로 건설 반영을 강력히 촉구하고 있다.
특히 송재봉 더불어민주당 의원(청주 청원)은 지난 2월 28명의 서명을 받아 ‘청주공항 특별법’을 대표발의한 상태다.
김영재 기자 memo340@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