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은 30인데 이자는 100” 빚의 악순환에 빠진 서산 자영업자
한극은행 금융안정상황 보고서 발표 상환 능력 없는 취약 자영업자 13.7% 대출 상환 대신 연장·유예 요청 늘어 경영 컨설팅 프로그램 있어도 체감↓ 업종 전환·재창업 등 종합 대책 필요
[충청투데이 전종원 기자] 충남 서산시에서 10년 넘게 음식점을 운영해온 A씨는 최근 폐업을 고민 중이다. 코로나19 이후 줄어든 손님은 좀처럼 회복될 기미가 없고, 올초 인상된 임대료와 대출이자는 그의 숨통을 점점 더 조이고 있다. "하루 매출 30만 원 버는 것도 힘든데, 이자만 100만 원 넘게 나가요. 이러다 진짜 가게 접어야 할 판입니다."
한국은행이 지난 27일 발표한 '금융안정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국의 자영업자 대출 규모는 1064조2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상환 능력이 떨어지는 '취약 자영업자'는 42만7000명으로 전체 자영업자의 13.7%에 달했다. 이들이 떠안은 대출은 125조4000억 원. 1년 새 10조 원 가까이 불어난 수치다.
서산시도 이 같은 흐름에서 자유롭지 않다. 서산의 한 지역은행 관계자는 "최근 자영업자들의 신규 대출 문의보다는 기존 대출 연장이나 상환 유예 요청이 크게 늘었다"며, "특히 외식업이나 소상공 프랜차이즈를 운영하는 분들이 어려움을 많이 호소하고 있다"고 전했다.
취약 자영업자란 저소득 또는 저신용이면서 다중채무 상태인 이들을 말한다. 이들의 연체율은 11.16%에 달하며, 일반 자영업자의 연체율(1.67%)보다 무려 6배 이상 높다.
자영업자의 평균 대출 규모는 3억4200만 원, 평균 소득은 4157만 원으로 나타났다. 여전히 코로나19 이전 수준(4242만 원)을 회복하지 못했다. 연체 자영업자의 경우 평균 소득은 3736만 원으로 줄어든 반면, 평균 대출은 2억2900만 원으로 오히려 늘었다.
문제는 이 같은 '빚의 악순환'이 단기간 내 해소되기 어렵다는 데 있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자영업자에 대한 금융지원 정책은 상환 능력과 의지를 고려해 차별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며, "정상 상환 중인 차주에게는 금융비용 경감, 연체 및 폐업 차주에게는 채무조정과 재기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산시도 이런 흐름에 발맞춰 지역 소상공인을 위한 다양한 금융 및 경영 컨설팅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있지만, 현장의 체감도는 여전히 낮다.
A씨는 "지원금 신청하러 가도 서류가 복잡하고, 실제 도움 받기는 쉽지 않다"고 털어놨다.
전문가들은 자영업 생태계의 구조적 한계와 지역 서비스업 경기 침체가 겹치며 서산을 비롯한 지방 소도시 자영업자들의 위기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단순한 금융지원이 아닌, 업종 전환과 재창업, 취업 연결까지 포함한 종합적 정책이 절실한 시점이다.
전종원 기자 smart@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