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 복귀 분수령… 충청권 의대교육 정상화 여부 촉각
이번주 건양대 의대 시작 복귀 시한 순차 도래 연세대 과반 복귀 등 달라진 분위기 감지 주목
[충청투데이 박영문 기자] '미복귀 시 제적' 방침을 세운 의과대학의 학생 복귀 시한이 임박하면서 충청권 의대 역시 향후 교육 정상화 여부 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24일 지역 대학 등에 따르면 이날 건양대를 시작으로 충남대 의대(28일), 을지대 의대(30일) 등의 복귀 시한이 순차적으로 끝날 예정이다.
이들 대학은 휴학 혹은 등록 이후에도 수업에 참여하지 않는 방법 등으로 단체 행동에 나서고 있는 의대생들에게 다양한 방법을 통해 복귀를 독려해 왔다.
충남대는 지난 18일 김정겸 총장 명의의 서한문을 통해 의대생에게 '28일까지 복학하지 않을 경우, 학칙에 따라 제적 처리가 진행될 예정'이라고 안내했다.
충남대의 경우 복학이 필요한 인원은 400여명 수준이며, 또 올해 신입생 158명(정원 외 포함) 전원이 수강 신청을 철회한 것으로 파악됐다.
여기에 건양대와 을지대도 각각 의대 학장 명의의 서신과 의대생 대상 간담회를 통해 학생들의 복귀를 설득해 왔다.
을지대의 경우에도 재학생 상당수의 복학이 필요한 상태이며, 건양대는 현재 일부 학생만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지역 의대들은 최근 들어 이전과는 크게 달라진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는 만큼 향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앞서 지난 21일 복학 신청 접수를 끝낸 연세대 의대는 휴학생 중 과반이 넘는 학생이 학교로 돌아온 것으로 알려졌다.
김홍순 교육부 의대교육지원관(의대국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정확한 수치는 아니지만 퍼센티지로는 확인했다"며 연세대의 '과반 복귀'를 인정했다.
김 국장은 또 대규모 제적 사태 대응책으로 대학들이 일반 편입학 등을 검토하는 것과 관련, "편입이나 재입학은 대학마다 학칙에 따르는 것"이라며 "정부로선 의대 교육 정상화 대책 이외에 다른 방안은 전혀 검토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지역 대학 한 관계자는 "수도권이나 타 지역 의대생들 복귀가 늘어난다면 지역에서도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며 "물론 의대 교육 정상화 여부는 지켜봐야 될 문제"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이달 말까지 의대생이 전원 복귀할 경우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인 지난해 수준(3058명)으로 조정하겠다는 입장을 발표한 바 있다.
박영문 기자 etouch84@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