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실무원 방과후 인력 충원 놓고 특수학교와 갈등
대전 특수교육실무원 격무 호소… 특수학교는 외부인력 유입 부담감
[충청투데이 김지현 기자] 대전지역 특수교육대상 학생의 방과 후 활동 지원 인력 충원을 두고 특수교육실무원과 일선 특수학교 간 갈등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학교 활동에 방과 후 활동까지 지원하는 특수교육실무원들은 인력 충원을 통한 업무 경감을 요구하고 있지만 학교에서는 외부 인력 유입 등으로 인한 안전 사고 우려에 난색을 표하고 있기 때문.
특수교육실무원은 통상적으로 한 학급에 한 명씩 배치돼 장애 학생의 급식, 생활지도, 화장실 사용 등 기본적인 학교생활을 돕는 업무를 담당한다.
이들은 정규 수업 이후에 진행되는 방과 후 활동에서도 장애 학생들의 생활을 지원해 왔다.
고강도 업무가 연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인력 보충을 통한 업무 경감을 요구하고 있다.
대전교육공무직본부 관계자는 “특수교육대상 학생들의 학교생활을 지원하다 보면 쉬는 시간도 없고 밥도 제대로 먹지 못한다”며 “별도의 인력 보충 없이 방과 후 과정까지 연속적으로 근무하도록 하는 것은 특수교육실무원을 고강도 업무로 내모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특히 특수학교와 달리 일선 초등학교 1~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전면 확대된 늘봄학교에서는 자원봉사자 지원이 나오는 점을 차이로 들고 있다.
늘봄학교 자원봉사자는 학생들의 학습과 돌봄 지도, 안전 관리 등 업무를 수행한다.
늘봄학교에 포함되지 않는 특수학교 방과 후 활동도 학교장의 판단 여부에 따라 자원봉사 인력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반면 대전 지역 특수학교에서는 학생 안전을 고려해 외부 인력이 유입되는 것은 논의가 필요하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지난달 대전 초등학생 사망 사건 이후 학교 내 안전 관리가 더욱 강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외부 인력 추가 유입에 대한 부담감이 커진 것으로 해석된다.
대전지역의 한 특수학교 관계자는 “학생들의 안전을 고려했을 때 특수교육실무원이 방과 후 활동까지 지원하는 것이 가장 최선의 방법이라고 판단했다”며 “추가 인력에 대한 논의는 안전 문제와 시교육청 지침 등을 심도 깊게 검토해 결정해야 할 문제”라고 설명했다.
대전시교육청에서도 별다른 지침을 내리지 못하고 있어 갈등이 장기화될 전망이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교육부에 자문을 구한 결과 특수학교 방과 후 과정은 특수교육실무원의 업무라는 답변을 받은 바 있다”며 “특수교육실무원과 특수학교 측의 입장이 상충돼 결론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김지현 기자 wlgusk1223k@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