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조차장 개발사업 ‘동·서 단절 해소’ 모델로

2025-02-27     충청투데이
대전 조차장 부지 전경. 조사무엘 기자.

대전시가 국가선도사업으로 선정된 대전 조차장 개발사업의 효과 극대화에 나섰다고 한다. 지난 1978년 대덕구 읍내동 일원 48만3940㎡(14만 6000평) 부지에 조성한 조차장은 열차 정비시설이다. 하지만 도심이 확장하면서 조차장은 동서단절의 대표적 장애요인으로 꼽혀왔다. 주민불편이 끊이지 않아 선거 때마다 지하화가 단골메뉴로 등장하곤 했다. 하지만 막대한 사업비가 들어가는데다 경제성도 낮아 추진이 지지부진을 면치 못해왔다.

대전시가 동·서 단절 해소, 지역균형발전, 청년·IT산업 거점육성과 같은 사업발굴에 나건 건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진다. 어느 하나 중요치 않은 게 없다. 동·서 단절 해소야 말로 조차장 개발을 하는 근본 이유 아닌가 싶다. 사회간접시설의 배치가 동·서 단절을 가져왔고, 이에 따른 유무형의 불이익은 계량할 수 없을 정도다. 지형균형발전을 어떻게 꽤할지 지혜를 모아야 한다. 선로 이전으로 새롭게 조성되는 약 26만㎡(8만평) 부지의 쓰임새에 관심이 모아지는 건 당연하다. 업무·주거·문화·교통이 어우러진 복합공간이 거론되고 있다.


조차장은 대전 중심상권과는 떨어진 외곽에 위치해 있다. 개발사업에 있어 약점으로 작용할 소지가 있다. 물론 정부와 지자체 주도의 개발사업은 민간에 의한 개발처럼 경제성을 우선으로 내세울 수 없는 노릇이다. 공익을 중시하되 여기에 경제성까지 담보된다면 금상첨화라 하겠다. 대전시가 대전도심 경부·호남선 36.5㎞ 전체 지하화 계획에서 거점 입체화(데크) 개발로 몸집을 줄인 게 국가선도사업 선정 시 높은 점수를 받았다고 한다. 추정사업비가 6조1000억원에서 1조4295억원으로 줄었다.

사업비가 대폭 줄었다고는 하나 열악한 지방재정 상 염출하기가 쉽지만은 않다. 민간기업들이 선뜻 투자에 나설지 현재로서는 미지수다. 원자재가격과 인건비 상승은 민간기업의 참여를 꺼리게 한다. 그래서 국토부와의 긴밀한 협력관계가 긴요하다. 조차장 개발사업은 얼어붙은 건설경기에 활력을 불어넣을 게 분명하다. 미래 100년을 내다보고 착실히 준비해주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