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E 연착륙 하려면 지자체와 대학 공조 필수

사설

2025-02-24     충청투데이뉴스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라이즈(RISE) 2025년 예산안. 그래픽=김연아 기자.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의 본격 시행을 앞두고 지자체와 대학들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는 소식이다. 대전, 세종, 충남·북 등 충청권 지자체는 RISE 예산확보와 함께 공모절차에 들어갔다. 각 지자체는 대학별 계획서를 접수해 수업수행평가를 벌이는데 4월께는 선정 작업이 마무리 될 것으로 보인다. 대전시는 RISE 사업비로 국비 680억원을 확보했다고 한다. 충남도는 1360여억원, 충북도는 1500여억원을 RISE 사업에 들일만큼 파이가 커졌다.

RISE는 ‘글로컬대학 30’과 함께 지역대학을 지원하는 두 축이다. 글로컬대학 30은 정부가 비수도권 30개 대학에 5년간 총 3조원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글로컬대학으로 선정된 대학은 5년간 약 1000억원을 지원받을 수 있어 경쟁이 치열하다. 반면 RISE는 지자체와 대학이 지역발전의 핵심역할을 하게끔 대학과 지자체의 공조를 강조한다. 글로컬대학이 정부 주도형이라면 RISE는 지역 선도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동안 정부가 이끈 대학지원사업이 성과를 내지 못한 측면이 있다. 이런 점에서 RISE에 대한 기대가 자못 크다.

RISE의 연착륙을 위해선 무엇보다 투명하게 대학을 선정해야 한다. 대학의 규모에 관계없이 콘텐츠를 중시해야 한다. 객관성을 담보한다면 공모과정에서 뒷말이 나올 리 만무다. 지자체가 예산을 지원해준다고 해서 수직적 관계를 유지해서도 안 된다. 지자체는 단기 성과와 단체장의 치적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대학은 연구의 지속성을 지표로 삼는다. 지자체와 대학의 공조가 그래서 중요하다. 지자체와 대학이 엇박자를 낼 경우 결과는 뻔하다.

대학은 지역사회의 구심체다. 하지만 지역소멸, 학령인구 감소로 위기에 직면해 있다. RISE와 글로컬대학 30은 이들 대학에 수혈을 해주는 것이다. 그렇다면 공모에 성실히 응해 잘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일단 사업을 따고 보자는 식으로 접근하는 대학은 골라내야 한다. 선정 된 대학은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모니터링 하는 등의 시스템도 마련해야겠다. RISE의 취지를 살려 지자체와 대학이 지역에 신바람을 일으켰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