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늘봄학생 1만 5000여명 귀가관리카드 만들라니…
하늘이 사건 후 강화된 교육부 안전 지침 귀가관리카드 작성 업무 학교당 1명씩 배치된 늘봄실무원에게도 요구 실효성 의문 속 “근시안적 대책” 지적도
[충청투데이 김지현 기자] 대전시교육청이 전체 초등학교에 늘봄학교 학생들의 개인별 ‘귀가관리카드’를 작성하도록 해 실효성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교육부 지침에 따른 것인데 다가올 신학기 신청 학생만 1만 5000여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현장 상황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탁상행정’이라는 비판이 커진다.
대전시교육청은 18일 대전지역 각급 학교에 ‘2025 초등 늘봄학교 안전 점검 계획’ 공문을 발송했다.
해당 공문은 하늘이 사건 이후, 교육부의 늘봄학교 안전 지침 강화에 따른 것이다.
늘봄학교 프로그램 진행 시간에는 돌봄 업무를 전담하는 돌봄 전담사와 늘봄학교 행정 업무를 담당하는 늘봄실무원 등이 학생 안전 관리를 담당한다.
문제는 돌봄전담사가 해오던 관리카드와 일지 작성 업무를 올해부턴 늘봄실무원도 작성하도록 했다는 점이다.
돌봄 전담사들은 그간 돌봄프로그램 참여 학생을 대상으로 매일 귀가 시간, 인계자 등의 내용을 포함한 관리카드와 일지를 작성, 관리해왔다.
그런데 신학기부턴 늘봄실무원도 이들과 함께 늘봄학생의 귀가관리카드를 작성하게 됐다.
하지만 학생들의 참여 프로그램과 하교 시간, 인계자, 특이사항 등이 모두 다른데다가 올해부터 2학년까지 대상자가 확대돼 대전에서만 늘봄학생이 1만 5000여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학생 수가 1000명이 넘는 과대학교의 경우 관리해야 할 학생은 많은데 늘봄실무원은 학교 규모에 상관없이 1개 학교에 1명씩만 배정돼있다.
실제 학교당 늘봄 참여인원이 100명이 넘는 학교도 있어 현실적으로 관리가 어렵다는 것.
늘봄실무원의 행정업무가 가중될 경우, 학생들의 실제 안전지도가 오히려 소홀해 질 우려도 존재한다.
학부모들도 초등학생 피살 사건의 근본적인 문제에서 벗어난 대책이라고 지적한다.
강영미 참교육학부모회장은 “학교 안에서 교사에 의해 벌어진 사건인데 정책은 늘봄학교의 안전 관리에만 중점이 맞춰져 있다”며 “늘봄학교의 행정 업무를 늘리게 되면 학생들은 오히려 위험에 더 노출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의 한 초등학교 늘봄실무원도 “학생 개개인이 어떤 프로그램을 듣고 언제 하교하는지 기록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현장 상황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근시안적 대책”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늘봄학교는 정규수업 이외 시간에 돌봄과 교육을 종합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체제로, 내달부터 초등학교 1~2학년 대상으로 전면 확대된다.
김지현 기자 wlgusk1223k@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