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한 선생님 1만명 넘어…하늘이 사건 대전만의 문제 아니다
가해교사 심각단계인 ‘주요우울증’ 진단 최근 불안장애 겪는 초등 종사자 증가세 지난해 상반기에만 1만 2000여명 달해 교사 정신질환 위험, 일반 공무원 2.16배 학교·교육청이 적극 개입해 해결 나서야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지난해 상반기에만 초등 종사자 1만 2095명이 우울증·불안장애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늘이 사건의 가해교사는 우울증 중에서도 정도가 심각한 ‘주요우울증(major depression)’으로 확인됐다.
그간 학교현장에선 정신질환으로 증세가 심각한 교사들을 소위 ‘시한폭탄’이라고 표현해왔다.
학생과 학부모는 물론 동료교사들과의 생활에서도 문제를 일으키며 인사철마다 ‘폭탄교사 돌리기’ 현상이 만연했다.
물론 교원의 정신질환 자체를 비난하고 사건·사고의 유일한 문제로 보긴 어렵다.
다만 심각한 감정기복, 불안, 우울 등 관련 증상으로 학생의 신변이나 학습권에 반복적 영향을 미치는 경우라면 그에 대한 적절한 조치는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
본보 취재결과 이번 하늘이 가해교사의 경우, 우울유형 중에서도 정도가 심한 ‘주요우울증’을 진단 받았던 것으로 파악됐다.
주요우울증과 일반우울증은 얼핏 비슷한 것 같지만 강도와 진단 기준에서 중요한 차이가 있다.
주요우울증은 지속적 치료가 필요한 심각한 우울증의 일종으로 본다.
전문가들은 이 상태가 감정, 생각, 신체 상태 및 행동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일상생활에 큰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 정신·심리상담 전문가는 “주요우울증은 일, 학교, 사회활동, 일상 등 많은 곳에서 눈에 띄는 문제를 일으킬 정도로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주요우울증의 심각도가 높아지면 내면 속 분노는 물론 망상 혹은 환각도 발생할 수 있다. 우울증이 감기라면 주요우울증은 독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이 같은 정신질환을 호소하는 학교 종사자들이 갈수록 늘어가고 있다는 점이다.
진선미 의원실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우울증과 불안장애 진료를 받은 초등종사자는 지난해 상반기 기준 총 1만 2095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초등학교 종사자(25만 7797명) 중 4.7%, 1000명 중 46.9명에 해당하는 수치다.
2018년 7987명이었다가 2019년 9687명, 2020년 9268명으로 꾸준히 늘었고 2021년부턴 1만 1452명으로 1만 명대를 넘어섰다.
2023년 기준이 1만 6803명인 것을 감안하면 지난해 연간 합산 수치는 더 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양한 학교 종사자 중 특히 교사들은 정신질환에 더 취약하다.
서울대 의대와 중앙보훈병원 공동연구팀이 2009년부터 10년간 공무원들의 산업재해 신청 내용을 분석한 결과, 교육공무원의 정신질환 위험도가 일반 공무원보다 2.16배 높게 나타기도 했다.
우울증은 2.07배, 급성 스트레스는 2.78배, 기타 정신질환은 2.68배 높았다.
이는 교사 보호 차원을 위해서라도 학교, 교육청 등이 적극적으로 개입해 치료기회를 부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교육현장 전반에서도 정신적, 신체적으로 심각한 질환을 앓고 있는 교사들에 대해선 어떤 방식이든 해결책이 제시돼야 한다는데 공감하는 분위기다.
한 대전지역 초등교사는 “그간 보수적인 교육사회가 인권침해를 이유로 정신질환 교사에 대해 소극 대처하는 경향이 다분했다”며 “이번 참사를 통해 교사의 정신병력을 쉬쉬하고 넘어갈 것이 아니라 정확한 실태조사를 통해 다수의 교사와 학생들이 피해를 입는 일이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