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속 고령 출산·난임 증가…의료 뒷받침은 여전히 미흡
[충청투데이 함성곤 기자] 국내 저출산 현상이 나날이 심화하는 상황 속에서 이른둥이 출생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이를 감당할 의료 인프라는 여전히 미비한 실정이다.
특히 최근 의정 갈등으로 전공의 이탈까지 더해지면서 남아있는 의료진의 업무가 더욱 가중되고 있어 필수 의료 인력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최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이른둥이 맞춤형 지원대책’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전체 출생아 23만여 명 중 저체중 출생아는 1만 8000여 명(7.7%), 조산아는 2만 3000여 명(9.9%)으로 집계됐다.
이른둥이란 임신 37주 미만으로 태어나거나 체중이 2.5㎏ 미만인 신생아를 의미하는 순우리말로, 10년 전과 비교하면 출생 비율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2014년 전체 출생아 43만 6400여 명 중 저체중아·조산아 비중은 각각 5.7%, 6.7%로 나타났다. 앞서 2년 전 조사와 비교하면 더욱 두드러지는 수치다.
이른둥이의 출생 비율이 증가한 것에 대해 정부는 시대적 변화로 인한 결혼 및 출산연령의 상승과 난임 시술 증가로 다태아 출산 비율이 높아진 점을 주 원인으로 꼽았다.
고령 임신은 조산과 저체중 출산 위험을 높이는 주된 원인으로도 지적돼 왔는데, 실제 1990년대 이후 평균 초혼 연령과 출산 연령이 동반 상승하면서 2014년 21.6%였던 고령 산모 비중도 2023년(36.3%)에 14.7% 늘었다.
문제는 이른둥이 출생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의료 인프라는 여전히 부족하다는 점이다.
이른둥이는 출생 직후 뿐만 아니라 성장 과정에서도 다양한 신체질환과 발달지연을 겪을 가능성이 높아 지속적인 추적 진료가 필수적이지만, 소아청소년과를 지원하는 신규 의료진은 점차 감소하고 있어 신생아 진료 환경은 더욱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 수도권과 멀어질수록 의료 인력 부족으로 인한 지역 격차는 더욱 심각해 지방에 있는 이른둥이와 산모들은 적재적소 치료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것도 문제로 지적된다.
이에 정부에서도 이른둥이 지원을 위한 4대 분야 15대 세부 추진과제를 발표하고, 예산 확대와 진료협력체계 구축 등을 약속한 바 있다.
하지만 의료계 현장의 반응은 싸늘하기만 하다. 애시당초 소아청소년과 등 필수 의료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지원 정책을 펼친다 한들 현실적인 수행이 불가능하다는 의견이 팽배하기 때문이다.
지역 의료계는 필수 의료과목에 대한 보상 체계 검토를 향후 정부 정책에 동반하고 의료진이 안심하고 근무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충청권 국립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서 근무 중인 한 전문의는 “정부에서 아무리 좋은 정책을 발표해도 애초에 수행할 인력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소아청소년과 같은 경우 1명 치료에도 많은 인력과 시간이 투입되는 것에 비해 보수나 보상이 부족한 부분이 있다 보니 과거부터 지원 인력이 적었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소아청소년과 인력 부족은 지난해 전공의 부재 이전부터 이슈화된 문제로, 현재로서는 교수님들이 최대한 커버하고 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문제는 더 커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함성곤 기자 sgh0816@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