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도, 폐업도 쉽지 않다… 위기의 영세 주유소

경기악화·고유가로 방치·장기휴업 주유소 발생 마진율 3% 안돼…억대 폐업 비용 부담도 한몫 타 업종 전환 등 정부·지자체 지원 필요 목소리↑

2025-01-17     조정민 기자
경기 침체 장기화와 고유가 여파 등으로 대전지역 주유소가 해마다 감소하는 가운데 16일 대전 대덕구의 한 주유소가 장기휴업 상태로 영업을 하지 않고 있다. 김주형 기자 kjh2667_@cctoday.co.kr

[충청투데이 조정민 기자] 경기침체 장기화와 고유가 여파 등으로 대전지역 주유소가 해마다 감소하며 위기를 맞고 있다.

폐업 비용조차 부담이 커 일부 주유소는 사실상 영업 중단 상태로 방치되거나 장기휴업으로 남는 실정이다.

17일 방문한 대전 대덕구의 한 주유소는 장기 휴업 중인 상태였다.

해당 주유소의 근처에는 다른 두 곳의 주유소가 불과 몇 백 미터 거리에 위치해 있었다.

가격 경쟁이 치열할 수밖에 없는 환경인 것이다.

근처의 다른 주유소도 침체된 분위기는 마찬가지였다.

이들은 ‘죽지 못해 산다’며 폐업도 섣불리 결심할 수 없다고 한탄했다.

대덕구의 한 주유소 사장은 “폐업도 마음대로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마음 같아서는 당장 이 일을 내려놓고 싶지만, 폐업 비용 뿐 아니라 경제적 부담이 커 아무 희망 없이 하루하루 버티는 느낌이다”라고 한숨을 지었다.

이처럼 몇몇의 지역 주유소는 영업도, 폐업도 쉽지 않은 진퇴양난의 상황에 놓여있었다.

한국석유관리원의 시·도별 주유소 현황에 따르면 대전 주유소 수는 2018년 240개에서 지난해 213개로 10% 이상 줄었다.

최근까지도 주유소 폐업은 끊이지 않고 있다.

주유소 업계는 잇따른 폐업의 가장 큰 원인으로 수익성 약화와 적은 마진율을 꼽는다.

전기·수소차 보급 확대 등 ‘탈석유화’가 추진되며 내연기관 차량 연료 수요가 감소해 석유 주유소 매출이 줄어든다는 것이다.

정부의 알뜰주유소 정책도 타격이 됐다.

알뜰주유소는 정유사로부터 기름을 보다 저렴하게 공급 받을 수 있는 수익구조로, 해당 혜택을 못 받는 개인 주유소는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여기에 가격경쟁 심화와 경기침체가 맞물린 상황 속 최근 원화 강세로 인한 고유가 현상까지 겹치며 폐업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분석한다.

결국 운영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매출은 감소하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상황이다.

한국주유소협회 대전지회는 최근 지역 주유소 마진율이 3%가 채 되지 않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문제는 폐업조차 못하는 주유소도 적지 않다는 점이다.

관련법 상 주유소 폐업 시 건축물 철거와 주변 토양오염도 검사 및 정화 작업이 필요한데, 평균 1억 5000만원 이상이 소요돼 폐업 자체가 부담 될 수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주유소 업계 관계자들은 탈출구 마련이 절실하다고 강조한다.

박건용 한국주유소협회 대전지회 사무국장은 “타 업종으로의 전환 등을 통해 자연스러운 폐업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정민 기자 jeongmin@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