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어떤 유형의 사람일까
이시윤 청주시 복대1동 주민복지팀장
2025-01-02 충청투데이
우리는 모두 타고난 역량을 최대한 발휘하면서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를 바란다. 정확한 정답은 없지만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마음 건강이다.
마음이 건강하기 위해서는 성격 파악이 우선일 것이고 그 성격을 간단하면서 재미있게 알아볼 수 있는 것이 에니어그램이다. 에니어그램은 직장, 가족, 친구 사이의 역동을 이해하고 나의 내면을 탐구하는데 유용한 도구로서, 우리의 습관적인 행동을 자각해 균형 있고 통합적인 삶으로 안내하는 훌륭한 도구이다.
에니어그램에는 1번부터 9번까지 9가지 성격 유형이 있는데 크게 3가지 힘의 중심(가슴중심, 머리중심, 장중심)으로 나눠진다.
가슴중심은 감정중심이라고도 하며 2번(조력자), 3번(성취자), 4번(예술가) 유형이 여기에 속한다. 머리중심은 사고중심이라고도 하며 5번(사색가), 6번(충성가), 7번(낙천가) 유형이 포함된다. 장중심은 본능중심으로도 불리며 8번(지도자), 9번(중재자), 1번(개혁가)이 이에 속한다.
가슴(감정)중심의 사람은 감정에 에너지의 중심을 두고 살아가며 머리(사고)중심의 사람은 사고에 에너지의 중심을 둔다.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끊임없이 타인과 자신을 구분하며 ‘경계의유지’를 위해 삶을 투쟁적으로 살아간다. 장중심의 사람들은 자신의 영역 안에 타인이 침입하거나 도전하는 것에 대한 ‘분노’를 기본정서로 갖는다.
나의 에니어그램은 1번(개혁가)으로 원칙주의적이고 이상주의적인 유형이다. 분열(불건강)한 방향일 때는 일을 향상하려고 노력하면서도 실수할까 봐 두려워하기도 한다.
건강(통합)한 방향으로는 세상을 낙천적으로 대하고 실수를 인정하면서 스스로 세운 완벽한 기준을 낮추고 감정보다는 내면의 성찰을 통해 침착해지면서 더욱 긍정적인 것에 집중하면서 인생을 즐긴다.
에니어그램 유형분석의 의의는 자기 모습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 보다 건강하게 자신을 발달시킴으로써 스스로 현재 스트레스를 받고 있거나 심리적 건강이 안 좋은 상태라는 것을 깨닫고 건강(통합)한 모습으로 자신과 주변의 삶을 건강하게 만드는 데 있다.
이번 기회에 나의 에니어그램이 몇번인지 검사해보고 나의 소중한 인생에 통합적 성장과 발전의 계기를 만들어 보기를 응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