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신년호] 대전시 미래 향한 도약의 시작 ‘혁신 원년’

[2025 신년호] 충청을 위한 현안사업 바이오 특화단지 글로벌 클러스터 도약 대전·충남 행정통합 민관협의체 구성 통합 지자체 2026년 7월 출범 목표 대덕 양자클러스터 조성 적극 추진 방침

2025-01-01     박영문 기자
지난해 12월 11일 대전 중구 유등교 상류 우안 둔치에서 열린 대전 도시철도 2호선 트램 건설공사 착공식에 참석한 이장우 대전시장과 내빈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김주형 기자

[충청투데이 박영문 기자] 출범 4년차를 맞은 민선 8기 대전시의 2025년은 충청, 그리고 대전의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실질적인 원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전 바이오산업 대도약을 위한 발판을 마련할 ‘국가첨단전략산업 바이오 특화단지’ 추진과 함께 대전·충남 행정통합 등 다양한 현안 사업이 본격화를 앞두고 있어서다.

우선 시는 올해부터 세계 최고의 바이오 혁신신약 글로벌 클러스터 도약을 목표로 국가첨단전략산업 바이오 특화단지(이하 바이오 특화단지) 조성을 추진한다.


앞서 지난해 6월 신동·둔곡, 대덕테크노밸리, 탑립·전민, 원촌첨단바이오메디컬지구 등 총 4개 산업단지 891만㎡는 바이오 특화단지로 지정됐다.

특화단지에는 산업단지 인프라 지원, 인허가 신속처리 의무화, 사용료·부담금 특례, 세액 공제, 용적률 최대 1.4배 상향, 수출 판로개척, 정부 R&D예산 우선 배정 등 정부 차원의 지원이 이뤄진다.

총사업비는 38개 단위 사업(기투자 포함)에 3조 2687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특화단지 조성을 통해 바이오 거점도시 도약 및 국가 기술 주권 확보가 가능해 질 것"이라며 "또 글로벌 수준 바이오기업 육성으로 지역 경제 신성장 동력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여기에 통합법률안 마련 등 역할을 담당할 민관협의체 구성으로 본격화를 앞두고 있는 대전충남 행정구역 통합에도 보다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11월 21일 대전 중구 선화동 옛 충남도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대전-충남 통합추진 공동 선언에 참석한 홍성현 충남도의장, 김태흠 충남지사, 이장우 대전시장, 조원휘 대전시의장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김주형 기자

대전시와 충남도는 지난해 11월 행정통합 추진 공동선언을 통해 통합 논의 개시를 알렸고, 한달 뒤 두 지역의 광역의회 의원과 기초자치단체장 등 30명으로 구성된 민관협의체를 출범시켰다.

민관협의체는 올해 상반기까지 통합 자치단체 명칭 등이 담긴 통합 법률안을 마련하고 양 시도는 이를 검토, 중앙부처 및 국회 협의를 거쳐 통합 법률안을 제정할 계획이다.

통합 지자체 출범 목표 시점은 2026년 7월이다.

아울러 시는 양자 기업·대학·정부출연연구원의 집적 및 융합을 통한 양자기술연구개발, 인재양성, 산업 핵심 거점 구축 등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대덕 양자클러스터 조성’을 적극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아울러 시는 양자 기업·대학·정부출연연구원의 집적 및 융합을 통한 양자기술연구개발, 인재양성, 산업 핵심 거점 구축 등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대덕 양자클러스터 조성’을 적극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앞서 대전은 지난해 5월 개방형 양자공정 인프라(양자팹) 구축사업 공모, 같은해 8월 양자컴퓨팅 양자전환 스케일업 밸리 육성사업 공모 등에 선정된 바 있다.

이와 함께 지난해 첫 삽을 뜬 대전도시철도 2호선 트램 건설 공사는 2028년 말 개통을 목표로 추진되며, 신교통수단(무궤도 차량시스템) 도입을 위한 시범노선 건설사업 추진 및 차량 발주 등이 예정돼 있다.

박영문 기자 etouch84@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