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가결’ 급한 불 껐지만… 지역 경제계 불확실성 우려 여전

헌재 판결까지 시일 걸려 불확실성 상존 2016년 탄핵 정국 때도 경제지표 큰 타격 여야 초당적 협력 통해 혼란 최소화해야

2024-12-16     박현석 기자
국회 '윤석열 대통령 탄핵 소추안' 가결. 이미지=연합뉴스 제공

[충청투데이 박현석 기자]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이 가결되면서 지역 경제계는 향후 파장에 촉각을 모으면서 국면 전환을 기대하고 있다.

경제 안정을 위해 정부가 비상 경제 대응 체계에 더욱 강화해 줄 것을 바라면서도 탄핵안 심사까지의 시차가 있는 만큼 불확실성 상존에 따른 우려도 여전하다.

16일 지역 경제계 등에 따르면 지역 내 기업들은 지난 14일 탄핵안 가결에 따라 정치적 불확실성이 어느 정도 해소될 것으로 보고 한숨 돌리는 분위기다.

계엄사태와 첫 번째 탄핵안 부결 이후 정세 불안에 따른 경제계 후폭풍이 일파만파로 커지는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특히 대외 신인도 하락 등으로 지역 내 수출기업들은 탄핵 정국의 장기화를 우려하는 상황이었다.

지역 내 한 기업 관계자는 “이미 계약된 건에 대해 해외 바이어들이 물량 공급이 가능하냐는 문의가 쇄도했다”며 “사태가 조기에 수습되지 않았으면 계속된 혼란으로 인해 향후 거래에도 영향이 미칠 것으로 우려했다”고 말했다.

탄핵안은 가결됐지만 아직 헌법재판소의 대통령 탄핵안 심사가 남았다는 점에서 정치적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의 시선은 여전하다.

특히 2016년 국내정세의 불확실성을 키운 ‘박근혜 탄핵정국’은 충청권의 소비·고용을 흔들며 지역 경제의 위축을 야기했다는 점에서 디시 찾아온 탄핵 리스크가 경제계 전반에 미칠 파급력을 경계하고 있다.

실제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논단 의혹이 제기된 2016년 말부터 제19대 대통령 선거로 문재인 정권의 출범이 결정된 이듬해 5월까지 소비·고용 분야 등 충청권 경제지표가 정치적 불확실성에 따른 하락세를 보인 바 있다.

이에 따라 지역 경제계는 정국의 조속한 안정을 위해 초당적 차원에서 여야 간 협치를 발휘해 주길 바라고 있다.

지역 경제계 한 관계자는 “코로나 사태 이후 기초체력이 바닥난 가운데 계엄 사태까지 터지면서 가뜩이나 어려운 지역 경제에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권한대행 체제이긴 하나 국정 공백이 없도록 정부와 정치권에서 협치를 통해 민생 안정과 사태 수습에 최선을 다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대전상공회의소도 15일 입장문을 통해 “경제와 민생의 어려움을 감안해 정국이 조속히 안정되고 국정 공백이 최소화되도록 국회와 정부가 각별한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박현석 기자 standon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