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정국 소비위축, 자영업·소상공인 보호 마땅

사설

2024-12-09     충청투데이
 8일 오전 대구 중구 서문시장에서 한 상인이 '계엄 사태'관련 뉴스를 보고 있다. 2024.12.8 사진=연합뉴스. 

비상계엄에 이은 탄핵정국 여파로 음식점 업주 등 자영업자들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로 장기간 어려움을 겪어오던 자영업계가 아닌가. 이제야 간신히 늪에서 빠져나오나 싶더니 전혀 얘기치 않은 탄핵정국이 엄습했다. 경기침체와 탄핵정국이 맞물리면서 매출이 급감하고 있는 것이다. 코로나19 때보다 지금이 더 어렵다는 자영업자들의 목소리가 곳곳에서 나온다. 자영업계는 정세불안이 장기화 할 경우 미칠 파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음식점을 중심으로 연말 특수가 줄어들지 않을까 노심초사하는 분위기다. 12월은 단체 송년회가 많아 자영업자들이 매출 만회에 기대를 걸곤 한다. 12월 한 달 벌어 매출감소를 벌충한다는 말도 있다. 하지만 송년회를 갖지 않거나 예약된 송년회를 취소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대전시청과 세종정부청사 주변 등 특정 상권에서는 공무원들이 올려주는 매출액 비중이 높다. 탼핵정국으로 공무원들이 움츠러들면 매출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골목상권도 매출이 떨어지지 않을까 고객 유치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위에서 지시하지는 않았지만 스스로가 연말 회식을 자제하는 모습이다. 소비 진작책이 요구되는 까닭이다. 탄핵정국이라는 어수선한 상황을 감안해도 회식, 송년회와 같은 모임까지 줄일 필요야 있겠는가. 코로나19 사태 때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업종 중 하나가 요식업종 이었다. 개점휴업 상태인 음식점이 많았다. 그러자 지자체가 음식점 살리기에 나섰다. 공무원들로 하여금 구내식당이 아닌 외부 식당을 이용토록 한 것이다. 어려움에 처하면 서로 돕는 게 우리의 미덕이다.

소비심리 위축은 경제에 엄청난 후폭풍을 가져올 게 분명하다. 박근혜 전 대통령과 노무현 전 대통령의 탄핵사태 때 뼈저리게 경험했다. 가뜩이나 나락으로 몰린 자영업자·소상공인들이 걱정이다. 슬기롭게 해쳐나가야 한다. 서울시는 소비위축 등에 대비하기위해 5000여억원 규모의 소상공인 힘보탬 프로젝트를 추진한다는 계획을 9일 내놨다. 매주 화·금요일에는 비상경제회의를 연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