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르거나 사용하기 눈치… 이름 뿐인 ‘개방 화장실’
대전지역 521곳 운영… 관리·홍보 부족에 실효성 미흡 안내 시스템 강화·관리 지원 확대 등 지자체 관심 필요
[충청투데이 함성곤 기자] 시민 편의를 위해 도심 곳곳에 운영 중인 개방화장실이 관리 부담과 위치 안내 부족 등으로 인해 실효성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시민들은 위치를 몰라 이용하지 못하거나 건물 관리자는 커지는 청소·관리 부담에 지정 해제를 요구하는 등 간극을 좁히기 위한 지자체의 관심이 필요한 실정이다.
2일 대전시 5개 자치구 등에 따르면 현재 대전 지역에서 운영 중인 개방화장실은 총 521곳이다.
자치구별로 보면 △서구 134곳 △대덕구 113곳 △유성구 110곳 △중구 100곳 △동구 64곳 순이다.
개방화장실은 공중화장실법에 따라 민간 건물의 화장실을 공공 목적으로 활용하도록 지정해 운영하는 것으로, 개방화장실 지정 시 자치구가 휴지와 비누, 종량제봉투 등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시민들은 개방화장실 위치를 알기 어렵다거나, 알고 있어도 사용에 눈치가 보인다고 입을 모은다.
충남대학교에 재학 중인 조모(22) 씨는 “공중화장실이 아닌 개방화장실은 들어본 적이 없었는데,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있다면 급한 용무 시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며 “지도에 마킹을 하는 등 자세한 위치 안내가 필요하지 않겠나”고 말했다.
건설업계에 근무 중인 40대 A씨도 “직업 특성상 현장에서 주로 일을 해 주변 화장실 위치를 사전에 파악하는 것이 일상”이라며 “근데 개방화장실 표시가 없어 사용해도 되는지 물어보거나 식당 안에 있으면 이용하기가 매우 눈치 보인다”고 토로했다.
실제 이날 서구와 유성구, 동구 일대 개방화장실을 찾아본 결과, 문이 닫혀있는 화장실은 없었지만 일부 건물은 내·외부에 별도 안내판이 없어 시민들이 화장실 위치를 인식하기엔 어려움이 있어 보였다.
자치구 홈페이지에 개방화장실 현황이 첨부돼 있긴 하지만, 사전정보공개목록에서 직접 검색하거나 공개된 현황마저도 엑셀 주소로만 표기돼 있어 공중화장실과는 달리 화장실을 찾기 위한 번거로운 단계가 많은 상황이다.
반면 건물 관리자들은 개방화장실 운영 이후 관리 부담이 커졌다고 토로한다.
봉명동 한 상가 관리인 김모(65) 씨는 “화장실을 상시 개방하다 보니 인력이나 비용 부담이 커져 지정 해제를 위해 신청서도 받았었다”며 “그러나 닫으면 닫는 대로 사람이 상주해 관리해야 하니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라고 볼멘소리를 냈다.
공중화장실의 부족함을 채우고 시민 편의를 위해 운영되는 제도인 만큼 개방화장실 안내 시스템 강화와 관리 지원 확대 등의 보완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는 이유다.
이와 관련해 한국화장실협회 관계자는 “최근 협회 자체 설문조사를 보면 화장실 이용 시 많은 시민이 상가 화장실을 먼저 찾고 있다. 하지만 대다수 건물은 닫혀있어 개방화장실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있는 상황”이라며 “지자체와 관리자 간 의견 조율을 통해 개방된 곳에 대해선 지속적인 관심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함성곤 기자 sgh0816@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