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깨끗하게 치러야
사설
2024-12-01 충청투데이
2025년 3월 사상 처음으로 전국동시새마을금고이사장선거가 치러진다. 지난 1963년 경남지역에서 향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시작된 새마을금고는 총자산 약 288조원의 상호금융기관으로성장했다. 비록 시작은 협동조합이었지만 지역공동체와 국민경제에 큰 영향력을 주며 공적인 영역으로 위상과 역할이 커졌다. 특히 새마을금고 운영의 핵심인 이사장부터 공적인 책임을 다하고 선출과정에서 투명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그 동안 80%가 넘는 새마을금고에서 이사장 선거가 간선제로 치러졌다. 소수의 대의원을 대상으로 선거를 치르는 만큼 그 명단을 확보하고 있으며 금고 인사권과 대출 최종승인권을 갖는 이사장들은 현직 프리미엄을 갖고 선거를 치러왔다. 그 와중에 부정과 금권선거 논란이 반복됐다. 3선 제한을 회피하기 위해 11년 6개월 간 근무한 이사장이 병을 이유로 사직한 후 다음 선거에 재출마해 당선되는 사례가 있었다. 또 선거 결과에서 패한 한 새마을금고 이사장이 자신이 구성한 대의원에 문제가 있다며 재선거를 치룬 후 당선되고, 그 과정에서 이사장의 부인이 대의원들에게 금품을 제공해 유죄를 받았지만 이사장의 신분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기도 했다. 모두 일반적인 공직선거에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일들이다.
이번 전국동시선거는 그들만의 리그로 진행됐던 새마을금고이사장 선출의 악순환을 끊을 수 있는 기회다. 선거관리위원회 위탁 및 직선제 도입을 통해 공정성과 투명성을 강화하고 회원의 올바른 선택을 돕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기부행위의 엄격한 제한은 막대한 업무추진비로 대의원들을 관리해왔던 현직 이사장들이 보다 공정한 조건에서 선거를 치를 수 있도록 유도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제도적 변화에만 기대어서는 안 된다. 새마을금고의 주인은 회원이다. 부정선거로 선출된 이사장이 독단적 운영을 하고 부정대출에 관여한다면 그 피해는 회원에게 돌아간다. 제도적 변화에 더해 그 구성원이자 주인인 회원들이 이번 동시선거에서 적극적인 참여와 감시에 나서야 하는 이유다. 새마을금고가 원래의 취지대로 서민을 위한 풀뿌리 금융이 될 수 있도록 제도권과 지역사회 모두가 함께 나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