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과잉공급·美 관세폭탄 대응책 오리무중… 충청권 기업 속앓이

대전·세종·충남·충북 中·美 의존도 높아 업계, 이미 중국발 과잉 공급 타격 받아 무역위 조사과정·기간단축 요청한 상태 트럼프 중국 무역 축소 예고… 우려 가중

2024-11-28     조선교 기자
트럼프, 미중 무역전쟁 2라운드 예고(CG). 이미지=연합뉴스 제공

[충청투데이 조선교·신동길 기자] 중국발 과잉 공급에 이어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보호무역주의로 인해 세계 무역질서에 변화가 예상되면서 충청권 수출기업들의 근심이 깊어지고 있다.

특히 이에 따른 대응책들이 가시화되지 않으면서 우려를 가중시키고 있는 모습이다.

28일 한국무역협회 등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대전과 세종, 충남 기업의 대중 수출액은 184억 6100만달러로 전체 수출 규모 중 21.7%을 차지했다.

전년 대비 수출 규모가 30% 가량 감소했음에도 불구, 1위 수출국 자리를 유지했다.

충북 역시 지난해 91억 6500만달러를 수출, 중국이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2.9%에 달했고 수출국 1위를 기록했다.

미국이 수출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적지 않다.

대전과 세종, 충남의 지난해 대미 수출 규모는 전체 수출액 중 11.7%(99억 1400만달러·4위), 충북은 23.5%(64억 3700만달러·2위)를 차지한 바 있다.

두 국가가 각 지역 산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 만큼 업계에서는 변화하는 국제 정세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그러나 이미 연초부터 진행된 알리·테무 등 중국 이커머스의 저가 공세 등 여파에도 불구, 본격적인 대응책이 없었던 데다가 공급 과잉 문제에 대한 대책 역시 요원한 실정이다.

이미 올해 초에는 중국 이커머스 해외직구로 인해 제조업과 도·소매업 등 중소기업계의 아우성이 짙어진 바 있다.

지난 3월 설문에서는 중소기업 320개 대상 설문(중기중앙회)에서 53.1%가 과도한 면세 혜택으로 인한 가격 경쟁력 저하를 문제로 꼽으며 피해를 호소했다.

이에 당시 정부는 개인적 사용에 대한 해외 직구 규제 등을 대책으로 내놓으면서 논란을 빚었고 끝내 철회했다.

이후 별다른 대책은 없었고, 중국 이커머스 진출에 따른 현 상황에 대한 진단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게 중소기업계의 입장이다.

이어 최근에는 국내 철강업계에서 중국산 후판(선박 건조에 사용하는 6mm 이상 철판) 등에 대한 잠정 관세 요구를 건의한 바 있다.

그러나 통상 잠정 관세 부여를 위한 무역위 조사에 1년 가량이 소요되는데, 사실상 내년까지 중국발 과잉 공급으로 인한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업계에선 이미 중국발 과잉 공급으로 인해 공장 가동률까지 줄이고 있는 상황인 만큼 조사과정과 기간 단축을 요청한 상태지만 가시화되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중국이 올 하반기 들어 생산력 육성 전략을 내세우며 설비 투자와 생산 증대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으로 예상돼 우려는 가중되고 있다.

또 향후 미국이 향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 체제에 들어서면 상황이 더욱 악화될 수 있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트럼프 당선인의 전방위적인 관세 부여 정책뿐만 대중국 강경대책으로 인해 중국의 과잉 공급 물량이 시장에서 더욱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지역 경제계 관계자는 “현 시점에서는 새로운 활로 모색과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 등에 초점을 맞춰야 하는 상황”이라며 “일례로 우리나라 정유산업의 경우 중국 등의 기술력 격차로 안정권에 있다. 산업 육성과 정부의 대응책이 뒷받침돼야 할 때”라고 설명했다.

조선교 기자·신동길 수습기자mission@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