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증원發 입시 혼란 여전… 애타는 수험생들 어쩌나
의료계, 수시 미충원 인원 정시 미이월 주장 정부, 오락가락 정책 수험생 혼란 우려 난색 무전공 선발도 상향 지원 늘려 입시 ‘안갯속’ 여야의정협의체 의대 정원 속히 결단 내려야
[충청투데이 김중곤 기자]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정책이 촉발한 대입 혼란은 14일 대학수학능력시험 이후에도 계속될 전망이다.
특히 의료계는 여전히 2025학년도 의대 정원 감축 방안으로 ‘수시 미충원 인원의 정시 이월 제한’을 요구하고 있어, 그 어느 때보다 정시 원서접수 전략을 짜기 어려운 상황이다.
14일 교육계에 따르면 수능 이후 수험생은 통상 가채점을 통해 자신의 예상 백분위 점수와 예상 등급 등을 가늠한다.
앞서 원서를 낸 수시전형으로도 대학 진학이 가능한지, 정시를 택해야 한다면 어느 대학에 갈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어떤 전형이 유리할지 전략을 세운다.
대입 전형이 최근 2~3년, 적어도 지난해와 비슷한 흐름을 보이는지가 수험생에게 중요한 이유인데, 올해는 이같은 연속성이 일찌감치 무너졌다고 평가받는다.
대입 사전예고제를 무시한 정부의 지난 2월 의대 정원 증원 발표로 올해 전국 의대에서 1500명 이상을 더 선발하며 지난해와 완전히 다른 입시 형국이 됐기 때문이다.
특히 사상 유례없는 대규모 증원에 의료계의 반발이 거세며, 의대 정원은 마침표를 찍지 못한 현재진행형일 수 있다는 의구심이 지워지지 않고 있다. 수험생 입장에선 여전히 변수인 셈이다.
지난 11일 가동한 여야의정협의체에 불참한 더불어민주당과 대한의사협회, 대한전공의협의회 등 의료계는 수능까지 치른 2025학년도 대입부터 의대 정원을 재조정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의료계에선 구체적인 방법으로 수능 최저조건 미충족 등으로 발생한 수시 미충원 인원을 정시 선발인원으로 이월하지 않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정부는 지금 상황에서 의대 정원을 또 바꾸는 것은 수험생의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고 선을 긋고 있지만, 여야의정협의체는 의제에 제한을 두지 않기로 한 만큼 가능성이 아예 없지는 않다는 예측도 흘러나온다.
대규모 의대 선발 확대는 의대 입학을 노리는 상위권뿐만 아니라, 중상위권 학생들이 서·연·고(서울대·연세대·고려대)를 노리는 등 수험생의 연쇄 상향 지원을 촉발하는 요인이다.
여기에 올해 상당수 대학이 도입 또는 확대한 무전공(특정 학과에 소속되지 않고 입학)도 수험생이 학과보단 대학의 이름값을 보게 원서를 접수하게 해 마찬가지로 상향 지원을 유발할 수 있다.
2025학년도 대입 정시 원서접수가 오는 12월 31일 시작하는 가운데, 의대 정원 규모를 하루빨리 최종 못 박지 않는다면 수험생의 혼란과 피해는 커질 수밖에 없다.
한 지역대 관계자는 “의대 정원은 의대뿐만 아니라 사실상 모든 대학에 영향을 준다”며 “여야의정협의체가 속히 결단을 내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중곤 기자 kgony@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