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안전 사각지대 논란’ 대전 지하철역 승강기 CCTV 설치 추진

市교통공사, 내년 예산에 설치비용 반영 장애인 범죄예방 선제 조치 필요성 공감 월평·판암역 시작으로 단계적 확대 방침

2024-11-12     함성곤 기자
대전장애인단체가 대전시 지하철역 엘리베이터 내 CCTV 미설치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갖고 있는 모습. 사진=함성곤 기자

[충청투데이 함성곤 기자] <속보>=대전 지하철 엘리베이터에 CCTV가 설치되지 않아 안전 문제가 제기된 가운데, 대전교통공사가 내년 예산에 CCTV 설치비용을 반영하고 본격적인 안전 강화에 나선다. <4월 17일자 4면 보도>

12일 대전교통공사에 따르면 2025년도 기계장치-시설비 예산과목에 66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내년 3월부터 지하철 1호선 엘리베이터 내부 상황 감시를 위한 돔카메라 설치를 진행할 계획이다.

대전교통공사는 우선 월평역과 판암역 엘리베이터 내부에 CCTV를 설치하고, 이후 단계적으로 다른 역에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앞서 지난 4월 대전교통공사는 대전장애인단체로부터 CCTV 같은 최소한의 안전장치가 엘리베이터가 없다는 것에 대해 규탄을 받은 바 있다.

비장애인이 지하철 엘리베이터 내에서 지체장애인 문모(41) 씨에게 침을 뱉고 발로 바닥을 세게 내리치는 등 위협을 가했으나, CCTV가 없어 피해를 입증하지 못한 일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당시 문 씨는 이를 경찰에 신고하고 가해자를 특정하기 위해 대전교통공사에 엘리베이터 내부 영상 등 도움을 요청했다.

하지만 지하철 역사 내 모든 엘리베이터 내부에 CCTV가 설치돼 있지 않아 가해자를 특정할 수 없었고, 결국 사건 조사는 이뤄지지 못했다.

실제 대전도시철도 22개역에는 엘리베이터 76대가 운영 중이지만, 외부와는 달리 내부에는 CCTV가 없어 안에서 발생한 일을 확인할 방법이 전무했다.

이러한 사실을 알게 된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대전장애인차별철폐연대 등 대전장애인단체들은 같은 달 16일 사건이 발생한 월평역 앞에서 CCTV 미설치에 대한 규탄 기자회견을 열고 안전장치 설치를 촉구했다.

대전교통공사도 이러한 단체 주장에 공감하며 기자회견 이후 관련 예산 계획을 수립하고 예산 확보를 위해 시와 지속해서 논의를 거친 것으로 전해졌다.

대전교통공사의 예산 집행에 대해 박이경수 대전여성단체연합 상임대표는 “장애인이 편안하게 공공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정책 과제라고 생각한다”며 “‘대중교통’이라고 불리는 시설인 만큼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에게 안전하고 친화적인 시설이 돼야 할 것”이라고 의견을 내비쳤다.

대전교통공사 관계자는 “해당 사건 이후로 범죄 예방을 위한 선제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에 공감해 왔다”며 “엘리베이터 내부 CCTV 설치를 통해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등 고객서비스 개선을 위해 앞으로도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함성곤 기자 sgh0816@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