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전기료 배신에 ‘울며 겨자 먹企’
지난달 산업용 전기요금 9.7% 올라 대전 산단 제조업체 부담 가중 현실화 “중소기업 사용량 多…경영 악화 우려”
[충청투데이 박현석 기자] 지난달부터 산업용 전기요금이 평균 9.7% 인상되면서 전력 소비가 많은 대전지역 산단 제소업체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제품 생산 단가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전기료가 껑충 뛰면서 경영 부담으로 직결되고 있는 것이다.
11일 지역 경제계에 따르면 지난달 24일부터 산업용 전기요금이 평균 9.7% 인상됐다.
다만 서민 경제 부담 등을 고려해 주택용·일반용 등 요금은 동결했다.
대기업이 주로 쓰는 산업용(을) 전기요금은 10.2%, 중소기업 대상 산업용(갑) 요금은 5.2% 각각 올랐다.
이를 비용으로 환산하면 산업용(을)은 ㎾h당 16.9원, 산업용(갑)은 ㎾h당 8.5원 상승했다.
이에 따라 전력 소비가 많은 대전 지역 제조 산업 현장에서는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고용량 전기 사용이 많은 업종에 있어 타격이 더욱 크다.
공정 상 24시간 전기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지역 내 한 제지공장의 경우 1년간 전기요금이 500억원을 납부하는데 약 10% 오르게 되면서 50억원을 더 부담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 공장 관계자는 “원료, 재단, 환경까지 제조 과정 상 24시간 공장을 돌리면서 전기를 쓸 수 밖에 없는 상황으로 부담이 크다”며 “그렇다고 제품 가격을 올리기에는 경제 상황도 어렵다 보니 울며 겨자먹기인 상황이다”고 토로했다.
공기업도 전기료 인상에 타격이 크다.
열차 대부분을 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부담도 크게 커진 것.
코레일에 따르면 최근 4년간 코레일이 납부한 전기료가 올해까지 57.7%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년도별로는 2021년 3687억원에서 △2022년 4272억원 △2023년 5329억원을 납부했고, 올해는 5814억원이 예상된다.
내년에 예상되는 전기료는 6375억원으로 전기료 인상전 5775억원보다 600억원이 증가할 것으로 분석했다.
이처럼 전기료 인상이 전방위적으로 경제계 타격을 입히면서 전기료 인하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지역 산단 한 관계자는 “전기 사용량이 많은 중소 업체 대부분이 주물, 열처리 등 뿌리산업 현장이다”며 “이들 중소기업 대부분은 전기요금이 제조원가의 30% 가까이 차지하고 있어 심각한 경영 악화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박현석 기자 standon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