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학생 영재학교 입학 늘리려면 공교육 제고·입학 전형 변화 필수
수도권에 비해 정보 부족한 지역 학생들 지역 인재 육성 하려면 입학 전형 개편 必 사교육 유발하는 입학전형도 바뀌어야 활동기록 중심·교사추천서 강화 등 대안
[충청투데이 조정민 기자] 대전·세종 영재학교 수도권 쏠림 현상에 대해 전문가들은 공교육 제고, 입학전형 개편 등을 요구했다.
상대적으로 정보가 부족한 지역 학생이 수도권 학생과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도록 소재지 선발 규모를 더욱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 이들의 중론이다.
이를 위해선 공교육 제고가 우선된다.
기존 초·중학교 영재학급, 교육청 관할 영재교육원 운영에 있어 지역 학생들의 진학 연계가 더욱 활성화 돼야 한다.
지역 학생들이 사교육 없이도 충분히 영재성을 키울 수 있도록 공교육 차원에서 지속적 관심과 지원이 이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물론 사교육을 유발하는 영재학교의 입시전형 및 시험 방식 변화가 먼저라는 지적도 있다.
현재 지역별로 영재학급, 영재교육원이 운영 중이지만 중학교 2, 3학년부터는 수요가 저조하다.
이는 영재학교 입학전형에 따라 내신 관리와 지필 평가를 준비하기 위해 공교육 영재교육을 포기하고 사교육으로 넘어가며 나타나는 현상이다.
영재학교 입시제도와 학생 선발 기준 정비로 사교육 쏠림 현상을 완화해야 하는 이유다.
중학교 내신점수나 지필평가를 통한 문제 정답 여부만으로 영재를 판가름 하는 건 섣부른 판단일 수도 있다.
대안으로 지역 영재교육원 및 영재학급 대상자 활동 기록이나 추천서 등을 통해 영재학교로의 진학을 연계하는 방안이 제시된다.
이외에도 발전 가능성, 창의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단계를 도입하거나 교사 추천서 강화 등의 다방면적 평가 요소를 통한 입시전형이 요구된다.
일각에선 모집 전형의 근본적인 시스템 개편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지역 인재 육성이라는 목적성에 맞게 지역 할당제 등 지역인재를 중심으로 모집하는 것도 하나의 대안으로 떠오른다.
지역 소재 영재학교는 권역별 안배를 통해 지역인재 위주로 균등한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도 각 영재학교에서 지역인재 우선 선발을 적용 중이지만 선발 지역이 지나치게 광범위하거나 규모가 10~20명 수준이라 수도권 쏠림을 해소하기는 역부족이다.
김용현 카이스트(KAIST) 입학처장 역시 전반적인 입시제도 개편과 함께 모집 전형에 논의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대전과학고등학교 출신이기도 한 그는 “이미 전국에 8개 영재학교가 골고루 퍼져 있고, 계속 늘어날 전망이기에 모든 영재학교가 전국단위 모집으로 경쟁할 필요가 없다고 본다”며 “지역 소재지 선발 규모를 넓히고 권역별 모집을 통해 지역 영재학교는 지역 인재 발굴 및 육성 관점에 집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조정민 기자 jeongmin@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