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청, 산업재산권 규모 200만건 확대… 첨단전략산업 전분야 특허 우선심사

‘지식재산 기반 역동경제 구현’ 추진

2024-11-05     서유빈 기자
특허청은 5일 브리핑을 열고 역동경제 실현을 위해 지식재산 선순환 혁신생태계를 강화하는 ‘지식재산 기반 역동경제 구현 전략’을 발표했다. 특허청 제공

[충청투데이 서유빈 기자] 특허청은 5일 역동경제 실현을 위해 지식재산 선순환 혁신생태계를 강화하는 ‘지식재산 기반 역동경제 구현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에 발표한 ‘지식재산 기반 역동경제 구현 전략’은 경제주체의 혁신을 권리화·수익화해 다시 혁신에 재투자하는 ‘지식재산 선순환 생태계’를 강화시켜 국내기업이 보유한 산업재산권 규모를 2021년 153만건에서 2027년 200만건까지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내년 1월에 바이오(35명)・첨단로봇(16명)・인공지능(9명) 세 분야에서 총 60명의 민간전문가를 특허심사관으로 채용한다.

바이오 분야에 전담 심사조직을 출범하고 특허 우선심사도 도입해 첨단전략산업 전분야(반도체・디스플레이・이차전지・바이오)에 ‘특허심사패키지’ 지원체계를 완성한다.

올해 8월 시행된 ‘산업재산정보법’을 기반으로 6억건의 첨단기술정보인 특허빅데이터를 본격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한다.

또 AI산업 등에서 특허빅데이터 활용이 촉진될 수 있도록 산업재산정보법에 근거한 5개년 기본계획을 연내 수립할 계획이다.

이밖에 기업과 대학・공공연이 보유한 특허가 창업, 신사업 진출 등 사업화에 보다 많이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한다.

김완기 특허청장은 내국인 보유특허 100만건, 지식재산금융 10조원 돌파, 지식재산범죄 양형기준 강화 등 윤석열정부의 지금까지 성과에 안주하지 않고 이번 전략을 차질없이 추진해 역동경제 구현에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서유빈 기자 syb@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