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 2050년 에너지 100% 자립… 내년 2월 특화 모델 발굴

작년 자립률 10.8%… 전국 14위 중장기 계획수립 연구용역 진행 유관기관과 특화지구 지정 도전

2024-10-28     김영재 기자
충북도청[충북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충청투데이 김영재 기자] 충북도가 내년 2월에 충북형 분산 에너지 특화지역 모델을 발굴한다.

충북도는 28일 충북연구원에서 이를 포함한 ‘충북 분산 에너지 육성 중장기 계획수립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

충북도에 따르면 충북도의 전력자립률은 2021년 7.8%, 2022년 9.4% 등 열악한 상태이다.


지난해엔 전력발전량 3191GWh에 소비량은 2만 9450GWh로 10.8%로 두자리 수에 접어들었지만 전국 17개 시·도 중 14위에 머물렀다.

충북도는 이런 에너지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중장기 비전과 추진전략 마련에 나섰다. 지난 6월 14일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일명 분산에너지특별법)이 시행됐는데 이 법은 필요전력의 일정량을 해당 지역에서 충당하도록 의무화한 것이다.

이 법은 분산에너지(에너지의 사용지역 인근에서 생산·소비되는 에너지) 설치 의무대상을 택지개발사업, 도시개발사업, 기업도시개발사업, 도시재생사업, 첨단의료복합단지, 혁신도시, 산업단지 등 일정 규모 이상의 에너지를 사용하는 시행자와 관리자로 규정했다.

이 법 시행으로 오는 2026년부터 전기요금 지역별 차등요금제가 도입된다. 연구용역의 주요 내용은 △충북 분산 에너지 현황 및 여건 분석 △충북 분산 에너지 육성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충북 분산 에너지 활성화 추진 전략 △전력시장 변화 대응 방안 제시(전력시장 제도 개선, 전기요금 지역별 차등요금제 등) △분산 에너지 산업육성을 위한 제도 개선 등이다.

충북도는 충북형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 모델 발굴을 끝내고 내년 3월 이후 공고 예정인 분산 에너지 특화 지구 지정을 위해 유관기관 등과 협력을 통해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김두환 충북도 경제통상국장은 "충북 분산 에너지 육성 중장기 계획 수립으로 다양한 발전원을 유치하겠다"면서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 지정 등을 통한 2050년 충북 전력자립률 100% 달성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영재 기자 memo340@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