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위해 한몸 바쳐 헌신했는데 충남엔 유공자 모실 호국원 없다

광역자치단체 중 충남만 국립묘지 無 보훈 대상자들 99% 호국원 조성 찬성 자부심·정체성 커 타지역 이용 꺼리기도

2024-10-24     권혁조 기자
보훈부 청사 앞 '영웅을 기억하는 나라' 표지판[국가보훈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충청투데이 권혁조 기자] 충남에 호국원을 유치해야 할 필요성이 절실해지고 있다.

도 단위 광역자치단체 중 충남에만 국립묘지가 없는 탓에 국가를 위해 헌신한 유공자들은 고향을 떠나 타지에서 묻히거나, 유족들의 경제적·시간적 부담 가중 등을 이유로 국립묘지를 이용하지 못하는 슬픔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24일 충남도 등에 따르면 ‘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은 국립묘지를 현충원, 호국원, 민주묘지, 선열공원 등 4종류로 구분하고 있다.


이 중 민주묘지는 민주화 운동자, 선열공원은 독립유공자만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일반적 의미의 국립묘지는 현충원과 호국원 두 종류로 나뉜다.

현충원과 호국원의 차이는 안장 대상으로 호국원에는 전몰·전상·순직·공상군경 무공수훈자, 경찰관, 참전유공자, 10년 이상 장기복무 제대 군인과 내년부터는 경찰·소방공무원으로 30년 이상 재직한 사람이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호국원은 경기도 이천, 충북 괴산, 경북 영천, 경남 산청, 전북 임실, 제주도 제주시 등 전국에 6곳이 있다.

강원도 횡성과 전남 장흥은 각각 2028년, 2029년에 호국원이 개원할 예정이다.

도 단위 광역단체 중 충남에만 국립묘지가 없는 것이다.

하지만 도내 보훈 대상자들은 접근성 불편, 자부심 저해 등을 이유로 타 지역 호국원 이용을 꺼려하고 있다.

실제 충남도가 9월 5~30일에 걸쳐 고엽제전우회, 6·25 참전 유공자회, 상이군경회, 월남전참전자회, 대한민국무공수훈자회 등 도내 주요 보훈단체 20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타 지역 호국원 이용의사에 ‘매우 그렇지 않다’(67.78%), ‘그렇지 않다’(24.38%) 등 약 92%가 부정적인 의사를 나타냈다.

그 이유는 접근성 불편(79.74%), 충남의 자부심·정체성 저해(14.32%)를 꼽았다.

도내 보훈대상자들은 유족들의 경제적·시간적 부담과 본인이 충남 출신 유공자라는데 자부심을 느끼고 타지에 묻히는 데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것이다.

반면 보훈대상자가 도내에 안정되어야 한다는 의견은 98.59%, 도내 호국원 조성에 찬성한다는 답변은 99.07%에 달했다.

거의 100%에 가까운 보훈대상자들이 도내 호국원 조성의 필요성을 호소하고 있는 것이다.

호국원을 조성해야 하는 이유는 접근성과 추모 편리성(57.58%), 존경·기억을 통한 지역 사회 정체성 강화(27.81%) 등을 답했다.

또 현충원 안장 대상자 중 도내에 호국원을 조성하면 91.96%나 호국원에 안장하겠다고 응답했다.

호국원의 조성 시기에는 81.79%나 당장 시급하다고 생각했다.

도내 호국원 유치를 통한 보훈대상자들의 도내 안장은 유공자들의 자부심과 유족들의 부담 감소뿐 아니라 충남의 보훈문화 확산을 위한 정체성 강화 측면에서도 시급한 것이다.

도 관계자는 "이번 설문조사는 도내 호국원 조성의 당위성을 보여주는 결과"라며 "호국원 유치를 위해 국가보훈부에 당진, 부여, 홍성 등 후보지 3곳을 제안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권혁조 기자 oldboy@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