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체전 수도권 독주 막을 대책 필요성 대두
[전국체전 충청권 활약] 인프라 뛰어난 수도권에 체육 인재 몰려 대학체육회 성적 연계 예산 투입엔 반대 체육 본질 살리고 국가 손실 없는 방안 必
[충청투데이 김중곤 기자] 전국체육대회의 수도권 독주 체제는 대회의 고질적인 병폐로 자리잡은지 오래다.
개선이 시급하지만 체육의 본질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각 시·도의 이해관계를 맞춘 대안을 마련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전국체전은 올해가 105회였을 정도로 한 세기를 이은 국내 대표 체육대회다.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지만, 긴 세월 동안 문제가 누적돼 온 것도 사실이다.
대표적으로 21세기 들어 전국체전의 우승 지역은 열에 아홉이 수도권이었다.
올해까지 총 24번(2020년 코로나19로 취소, 2021년 순위 미집계)의 대회 중 무려 22번을 경기가 우승했다.
서울은 경기에 밀려 2019년에만 최정상에 올랐지만 2위는 14번이나 지키며 역시 전국체전의 강호 면모를 보였다.
반면 비수도권에선 그나마 충남이 2001년 딱 한 번만 개최지의 이점을 살려 최정상에 올랐을 뿐이었다.
상대적으로 인프라가 뛰어난 수도권으로 인재가 몰리는 현상이 체육계에서도 만연하다 보니 이같은 경기·서울 2강 체제가 굳건한 것이다.
대한체육회는 올초 전국체전 순위 산출 방식을 개선하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지역 시·도체육회의 반발로 사실상 무산됐다.
대한체육회가 구상했던 안은 기존의 경기결과에 따른 점수에 △지자체 예산 대비 지역체육회 예산 비율 △지역 인구 대비 체육선수 비율 △팀 창단 가산점 등을 더하는 방식이었다.
지자체가 체육에 많이 투자할수록 순위가 오르는 것인데, 승패를 인정한다는 체육의 본질을 훼손하고 수도권의 선수 육성 의지를 꺾어 국가적 손실을 입힐 수 있다는 지적이 시·도체육회 사이에서 제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지역체육회 관계자는 “돈을 더 썼다고 등수가 앞서면 공정한 체육이라 할 수 없다”며 “또 지방의 재정 여건 상 체육에 무한정 돈을 들일 수도 없어 지속적인 성적 개선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대한체육회의 안을 지적했다.
대한체육회는 시·도체육회에서 제기한 비판을 인정하고 연말 대한체육회장 및 체육종목단체장 선거가 끝난 후에 전국체전 개선 방안을 다시 논의하겠다는 입장이다.
대한체육회 관계자는 “각계 전문가가 참여하는 별도 위원회를 둬 전국체전의 여러 부분을 종합적으로 개선하는 새 안을 장기간에 걸쳐 마련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김중곤 기자 kgony@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