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광역연합 협력과 연대감 다져야 안착된다
사설
2024-10-16 충청투데이
수도권으로의 과도한 집중을 완화하고 지역경쟁력을 강화해 지방소멸을 해소하는 행정구조적 대안으로 메가시티가 꼽히고 있다. 초광역단위 지방자치단체의 통합과 연계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수도권 집중 현상은 각종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향후 국가적인 위기상황을 초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인구와 경제지표, 사회문화적 인프라가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지방의 인구 유출 및 감소로 이어지고 이로 인한 지방소멸을 불러오는 악순환이 지속되기 때문이다.
실제 2023년 기준 전 국민의 50.7%가 수도권에 살고 있으며 일자리의 58.5%가 수도권에 몰려 있다. 지방소멸 위기도 현실화 단계다. 전국 228개 시군구 중 소멸 위험지역이 118개로 전체의 51.8%에 달한다.
충청권 4개 시도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특별지방자치단체인 충청광역연합이 오는 12월 출범을 앞두고 있다. 충청광역연합은 교통 인프라, 산업경제, 사회문화, 국제교류협력 등 모두 4개 분야에 걸쳐 20개 사무에 대해 53개 사업을 추진한다. 또 미래전략산업을 발굴, 성장시키고 지역 간 연계를 강화할 광역단위 교통계획을 총괄하는 역할이 주어졌다. 수도권에 대응할 충청권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행정조직으로 성장해야 할 책무를 맡게 된다.
충청광역연합이 출범하더라도 충청권 전체의 행정통합으로 가는 전단계로 단정 지을 수는 없다. 또 지자체의 사무이관에 대한 경계가 모호하고 권한에 대한 한계 등 풀어야 할 숙제도 적지 않다. 지역별로 이해관계가 다르고 관장사무를 발굴하는 과정이 쉽지 않고 의사결정 구조도 복잡해질 수 있다. 무엇보다도 주민들의 관심도가 낮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연계와 협력, 상생의 기초를 다져야 한다. 협력을 통해 서로에게 이익이 될 수 있다는 성공의 경험을 축적해야겠다. 행정조직이 주도하는 것보다는 민관이 소통하고 협력하면서 공동현안을 해결하는 등 연대감을 쌓아갈 필요가 있다. 멀리 보고 한 걸음 한 걸음씩 보조를 맞춰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나가야 성공모델을 창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