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뉴스마저 비수도권 홀대” 과방위 여야의원 한 목소리 지적
민주당 조인철 의원, 네이버 콘텐츠 제휴사 지역 매체 확대 촉구 국힘 최형두 의원도 “CP사 지역 매체 비율… 20~30% 확대 필요”
[충청투데이 김대환 기자] 국회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1년 6개월째 중단 상태인 포털뉴스 제휴 평가의 재개와 콘텐츠 제휴사(CP사) 지역 매체 선정 비율 확대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여야 양측에서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조인철(광주 서구갑) 의원은 7일 국회에서 방송통신위원회 등을 대상으로 열린 과방위 국감에서 국내 최대 포털 네이버가 뉴스마저 비수도권을 홀대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이같이 촉구했다.
국민의힘 최형두(경남 창원 마산합포) 의원 역시 국정감사 자료를 통해 전체 CP사 중 지역 매체가 차지하는 비중이 14%에 그치고 있다며 확대 필요성을 지적했다.
조 의원에 따르면 뉴스 노출 빈도가 가장 높고 별도 수익이 발생하는 ‘뉴스 콘텐츠 제휴’의 경우 △방송사 △신문사 △경제지 △전문지 △매거진 등 84개 언론으로 구성됐다.(포토뉴스 3개사 제외)
하지만 지방 소식을 주로 전하는 지방지는 84개 중 12곳(14.1%)에 불과하고 2016년부터 시행된 포털뉴스 제휴평가위원회 심사로 추가 편입된 지역지는 전무한 상황이다.(특별심사 제외)
반면 중앙 매체의 경우 본 매체 뿐만 아니라 자회사까지 6~7개씩 제휴를 맺고 있는 상황이다.
조 의원은 “네이버가 지역에 대한 안배 없이 오로지 서울 중심적 사고로 대한민국 전체 여론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고 있다”면서 “뉴스의 소비는 서울이든 지방이든 관계없이 동일하다는 점을 기억하기 바란다”고 지적했다.
이어 “네이버가 비수도권 이용자 홀대라는 비판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균형 발전을 위해서는 적어도 지역 매체 비율을 최소 20~30% 이상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최 의원 역시 “네이버 뉴스 컨텐츠제휴사 가운데 지역 매체는 12개에 그친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 CP의 지역매체 배재로 인해 여론의 수도권 쏠림현상이 심각한 가운데 이에 따라 지역 매체 비중을 인구대비 최소 20-30%까지 확대할 필요성이 제기됐다”고 지적했다.
한편 조 의원은 정치권에서 포털뉴스의 편향성 및 가짜뉴스 유통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언론에서도 뉴스제휴평가위원회 운영에 대한 요구가 이어지고 있지만 사실상 2022년 하반기 평가 이후 활동이 중단된 점에 대해서도 문제를 지적하며 평가 재개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