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교육청, 학교복합시설 추가 건립… 2027년까지 1000억 투입
대전시교육청은 정례브리핑, 학교복합시설 계획 밝혀 4~5개소 1000억원 규모 학교복합시설 추가 신청 계획 원도심 중점… 외부인 안전 관련 동선 분리 등 대책 수립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대전시교육청이 오는 2027년까지 1000억원을 투입해 학생과 지역민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학교복합시설을 추가로 건립한다.
24일 대전시교육청은 정례브리핑을 통해 평생교육, 돌봄, 문화·체육 등 다목적으로 활용 가능한 학교복합시설을 확대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교육부가 공모하는 학교복합시설 활성화 계획은 2023~2027년 전국 시도교육청 200개 학교에 1조 8000억원의 교부금을 지원해 복합시설을 건립하는 사업이다.
대전시교육청은 올 하반기부터 4~5개소에 총사업비 1000억원 규모의 학교복합시설을 추가로 신청할 계획이다.
앞서 기성중에 기성종합복지관을, 대전호수초에 어린이집을 각각 2008년, 2022년 준공해 대전시와 대전 서구가 현재 운영 중에 있다.
별개로 2022년 대전고가 생활 SOC 복합화사업(국무조정실)에 선정돼 도서관·생활체육관 등 복합시설을 건립 중에 있다.
지난해엔 충남중에 어린이·청소년도서관이, 올해 1차 공모엔 대전문창초에 공공도서관, 2차 공모엔 새일초에 복합문화센터(수영장·도서관·돌봄시설)이 각각 선정돼 건립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대전시교육청은 교육·문화·돌봄 인프라가 열악한 원도심을 우선으로 중점 유치할 계획이지만 지역 안배를 위해 향후 유성구에도 공모를 신청한다는 입장이다.
다만 지역민 공동 시설이 학교 담장 안으로 들어오게 되며 교내 안전문제에 대한 불씨가 여전히 남아있는 상황이다.
학교개방 정책 자체를 반대하는 일각에선 담장을 낮추고 외부인을 받아들이는 순간 몇 배의 사회적 비용이 수반될 것이라는 비판의 의견도 존재한다.
대전시교육청은 추진 과정에서 교직원·학부모 의견을 적극 수렴하고 학생 및 이용자 동선과 진·출입구 분리(주차장 포함), 외부인의 학교 건물 진입 제한 등으로 철저하게 안전대책을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정회근 대전시교육청 행정국장은 “앞으로 추진하는 학교복합시설에는 2022~2023년 연속으로 전국도서관 운영평가 우수기관으로 선정(문화체육부 장관상 및 특별상 수상)된 ‘대전학생교육문화원’과 2023년 전면 리모델링 후 개관한 ‘산성어린이 도서관’을 모델로, 방과후·돌봄 프로그램 운영이 가능한 어린이·청소년 도서관을 특화해 추진하겠다”고 전했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