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지역인재 의무채용 있으나마나
지방 이전 공공기관들에겐 의무인데 작년부터 채용 줄여 의무채용도 감소 실제 채용 241명…3년전比 41% 줄어 대학에선 지역인재채용 효과 “글쎄”
2024-08-27 김중곤 기자
[충청투데이 김중곤 기자] 지방 이전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의무채용제도에도 불구하고 충청권 대학생의 지역 공공기관 채용 문턱이 개선되지 않고 있다.
특히 지난해부턴 정부의 공공기관 인력 감축 기조에 따라 기관이 채용 자체를 줄이면서 충청권의 지역인재 의무채용도 3년 전보다 2배 가까이 토막 났다.
본보는 국토교통부로부터 ‘이전 공공기관의 연차별 지역인재 의무채용 실적’ 자료를 정보공개청구해 분석했다.
혁신도시 조성 및 발전에 관한 특별법(혁신도시법)에 따라 2018년부터 지역인재 의무채용제도가 도입됐다.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 이전한 전국 공공기관 127곳은 해당 지역 대학 또는 고등학교(최종학력 기준) 졸업자를 30% 이상 채용해야 한다.
국토부 자료를 보면 충청권의 이전 공공기관은 51곳이며, 지역인재 의무채용률 평균은 지난해 기준 대전 42.6%, 세종 33.3%, 충남 38.1%, 충북 44%로 기준에 부합한다.
문제는 실제 지역인재 채용인원이다. 의무채용률 실적이 무색하게 충청권에서 지역인재로 지역 공공기관에 입사한 자원이 눈에 띄게 줄었기 때문이다.
충청권 이전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채용인원은 지난해 241명으로, 3년 전인 2020년(408.78명)보다 167.75명(41%) 감소했다.
지역인재 채용이 급감한 배경에는 정부의 공공기관 인원 감축이 자리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2022년 12월 공공기관운영위원회를 열어 2025년까지 공공기관 인원을 1만 2242명을 줄이기로 의결했다.
이를 위해 지난해에만 목표치의 대부분인 1만 1081명의 정원을 구조조정하기로 했는데 이 여파로 기관이 채용의 폭을 대폭 축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충청권 이전 공공기관 51곳의 총 신규채용인원은 2020년 4414명에서 지난해 1051명으로 약 3분의1이 사라졌다.
충청권에서 채용 규모가 가장 큰 대전의 한국철도공사는 전체신규채용을 2022년 1697년에서 이듬해 1593명으로 감원했고, 그러면서 지역인재 채용도 같은기간 194명에서 122명으로 크게 빠졌다.
충남 한국서부발전㈜은 지난해 전체신규채용이 36명으로 전년(88명)보다 2배 이상 급감, 지역인재 채용 또한 22명에서 7명으로 3배 감소했다.
심지어 충북 한국가스안전공사는 전체신규채용이 2022년 94명에서 2023년 51명으로 크게 줄면서 지난해 지역인재 채용을 아예 하지 않았다. 2022년에는 15명 뽑았다.
대전 국방과학연구소, 한의학연구원, 충북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도 지난해 총채용이 줄며 지역인재 채용을 실시하지 않았다.
이은실 충남대 인재개발원 팀장은 "충청권엔 채용 규모가 큰 공공기관이 많지 않은데 여기에 채용 규모를 더 줄이고, 설상가상으로 각종 예외규정도 있어 대학 현장에서 크게 체감되지 않는 것이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강보영 공주대 취업지원실 팀장은 "채용 문이 좁아지면 특정 대학 학생만 합격하는 서열화가 더욱 심해질 수 있다"며 "신입생, 학부모 대상 희망직장을 꼽으면 공공기관이 1등인데 현실은 그렇지 않다"고 토로했다.
김중곤 기자 kgony@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