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어린이재활병원 대책위 발족 “직원 처우 개선하라”

줄퇴사로 환아 치료받을 권리 박탈 호소

2024-08-27     서유빈 기자
27일 오후 2시 대전시청 북문 앞에서 대전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를 위한 환아가족 및 노동·시민사회 대책위원회 출범 기자회견이 열렸다. 사진=서유빈 기자

[충청투데이 서유빈 기자] 경력 차별, 열악한 처우 등으로 대전세종충남넥슨후원 공공어린이재활병원 경력 직원들의 이탈이 심화되며 환아들의 치료받을 권리가 박탈당하고 있다는 호소가 나왔다.

27일 대전공공어린이재활병원 정상화를 위한 환아가족 및 노동·시민사회 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이날 오후 2시 대전시청 북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책위 출범을 선언했다.

대책위는 기자회견문을 통해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의 설립 취지와 다르게 정부와 지자체의 방관·방치 속에서 떠나는 경력직 직원들, 부족한 인력, 그로 인한 환자들의 불안과 불만이 지속되고 있다”며 “대전시는 겉으로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을 위해 대단한 노력을 기울이는 것처럼 호도하고 있으나 실상은 낮은 처우에 정원 축소 운영 등 병원이 제 기능을 다 할 수 있도록 애쓰고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

대책위는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이 개원한지 1년 만에 경력 직원의 20%가 병원 현장을 떠났다며 직원들의 동일 직종 경력을 인정하지 않은 점 등을 개선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신문수 보건의료노조 대전충남지역본부장은 “올해 근로 조건과 관련된 문제, 병원 운영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 공공어린이재활병원 노조는 목소리를 내왔지만 잘 해결되지 않았다”며 “공공어린이재활병원은 수익을 내기 위한 구조가 아닌데 최근 시가 적자를 운운한 것은 ‘아전인수’”라고 꼬집었다.

또 강혜빈 보건의료노조 대전공공어린이재활병원지부장은 “아이들을 치료하는 8년차 작업치료사로서 소아 치료를 하고 싶어서 병원이 개원하기 전부터 몇 년을 기다려 고향인 부산에서 대전까지 왔다”며 “하지만 이곳에 오기 위해 쌓아 올린 경력과 치료에 대한 열정에 비해 병원의 임금은 터무니없이 적고 대전에서의 생활비는 너무나 많이 든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기본적인 근무 여건이 개선돼야 치료하는 아이들을 지켜낼 수 있고 제 소아 치료의 꿈이었던 병원에서 계속 근무할 수 있다. 시는 병원의 정상화를 위해 직원 처우 개선을 해주길 간곡히 요청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대책위는 △정부의 운영비 직접 지원으로 소아재활 환자들의 치료받을 권리 보장 △경력산정 제대로 인정하고 일할 여건 마련 △직원처우 개선해 환우들의 치료받을 권리 보장 △환우들을 위해 직원들이 계속 일할 수 있는 여건 마련 △지역사회 공공소아재활을 위해 시의 해결책 강구 등을 요구했다.

서유빈 기자 syb@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