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자족기능’ 투자유치단에 달렸다
행정기관 이전… 외형상 면모 갖췄지만 기업유치 통한 자족기능 확충은 험로 市·행복청·LH세종특별본부 원팀 꾸려 성과 위한 초당적 협력·정부 뒷받침 필요
2024-08-07 강대묵 기자
[충청투데이 강대묵 기자]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의 열쇠를 쥔 ‘투자유치단’의 행보가 주목되고 있다.
세종시는 외형상으론 행정기관 이전의 호재로 면모를 갖춰가고 있지만, 굵직한 기업유치를 통한 자족기능 확충은 험로를 겪고 있는 게 현실이다.
세종시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LH 세종특별본부가 ‘투자유치 원팀’을 이뤄 가시적 성과를 도출해야 할 시점이다. 정치권의 초당적 협력과 중앙정부의 뒷받침도 필수적이다.
7일 세종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7월 30일자 하반기 조직개편을 통해 이승원 경제부시장 직할의 투자유치단을 구성했다.
기존 경제산업국 내에 자리잡은 투자유치단을 경제부시장 직속 기구로 바꾸면서, 공격적·체계적인 행보에 나서겠다는 의미가 담겼다. 투자유치단은 투자정책, 기업유치, 민자유치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이 가운데, 세종시 투자유치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선 관련 기관의 협력구조 강화가 요구된다.
현재 세종시, 행복청, LH세종특별본부 등의 3개 기관은 별도의 투자유치팀을 구성해 활동을 펼치고 있다. 하지만 미약한 성과는 풀어야 할 과제. 지역을 대표 할 굵직한 기업이 없는 탓에 ‘공무원 도시’, ‘베드 타운’, ‘상가 공실’이라는 악재가 끊이질 않고 있다. 이들 기관이 투자유치 TF팀을 구성해 정기적 협의를 펼쳐야 할 중대한 시점이다.
정부도 수도권 일극화를 타개하기 위해선 국토균형발전을 위해 태동한 세종시에 과감한 세제 혜택 및 제도적 지원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각 지자체별로 동시 다발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경제자유구역, 기회발전특구 그 이상의 혜택이 요구되고 있다.
‘세종특별자치시 설치 등에 관한 특별법’ 개정 과정에서 자족기능을 보강하는 ‘도시경쟁력 강화’ 부문의 체계적인 설계도 중요하다.
정당별 이해득실을 뛰어넘는 정치권의 협조는 필수적이다. 22대 국회에서 정무위원회 간사를 맡게 된 강준현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세종을)의 역할론이 요구된다. 정무위는 국무총리실을 비롯해 대기업과 연계된 공정거래위원회 등 전반적인 국정 운영 정책을 총괄하는 상임위다.
강준현 의원은 최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과 관련 "공정위 등을 포함한 정무위 간사를 맡게 되면서 기업들과 만날 수 있는 자리가 많아졌다"며 "세종시 스마트국가산업단지에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세종 시민들은 자족기능 확충에 대한 열망이 높다.
기업계 관계자는 "세종시는 행정 기능만으로는 절대 도시경쟁력을 확보할 수 없다"면서 "투자유치 관련기관과 정치권이 힘을 모아 굵직한 대기업을 유치해 유동인구를 통한 상권 활성화 및 법인세 확충을 통한 세수마련 등이 진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강대묵 기자 mugi1000@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