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기업·국가 모두 개인정보 유출 예방 신경써야”

[잇따른 해킹범죄 이대론 안된다] 정보보호 중요도 인지·지속적 투자 강조

2024-07-03     함성곤 기자

[충청투데이 함성곤 기자] "개인정보 유출은 재정적 손해를 넘어 범죄로 악용될 수 있는 만큼 심각한 범죄 행위로 인식하고 그에 대한 대책을 미리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영진 배재대학교 소프트웨어공학부 정보보안학전공 교수<사진>는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피해가 당장 드러나지 않더라도 여러 가지 범죄로 연결될 수 있는 만큼 개인과 기업, 국가가 정보 취급에 대한 중요도를 인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 교수는 "앞으로 AI와 빅데이터, 메타버스와 같은 새로운 기술 도입이 상용화되면 그만큼 서비스를 위한 개인정보는 더 많이 요구하고 취급하게 될 것"이라며 "해커 집단에서 바라보면 더 많은 공격 타깃이 생성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신기술을 도입하면 그에 맞는 사이버 보안 조치가 강화돼야 하는데 기술 개발과 서비스 제공에 중점을 두다 보니 정보보호가 그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덧붙였다.

그는 침해(해킹)사고는 안전 조치 미흡이나 보안 인식이 낮은 경우 등 다양한 이유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민간 기업이나 공공기관 모두 보안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가 중요하다고 피력했다.

신 교수는 "기술에 따라 다르긴 하겠지만 결국 보안에 대한 안전 조치가 미흡하거나 기관에서 관련 예산이나 인력 투자가 이뤄지지 않을 때 허점이 발생한다"며 "그러나 사이버 보안에 투자하면 당장 성과가 눈에 보이지 않아 기업 입장에서 중요도가 높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시간이 지나 해킹 공격을 당해 소비자 개인정보가 탈취된다면 피해를 당한 고객은 더 이상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게 될 것이고 결국 도태되는 건 기업이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기업과 기관에 정보를 제공하는 개개인 역시 정보의 주체로서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다고도 역설했다.

신 교수는 "정부가 개인정보 보호 교육을 위한 무료 교육도 실시하고 있는 만큼 개인 또한 본인 정보 보호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할 줄 알아야 한다"며 "개인정보의 주체인 국민 입장에서 이 정보는 나의 자산인 것을 인식하는 것이 최우선"이라고 조언했다.

함성곤 기자 sgh0816@cctoday.co.kr

 성심당몰 안내문[성심당몰 갈무리. 재판매 및 DB 금지] (왼쪽), 선메디컬센터 홈페이지 해킹[선메디컬센터 홈페이지 화면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오른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