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대학 설립 동력 확보하려면 ‘지역사회 공감대’ 얻어야

지난해 지자체·치과계 없이 추진 지역 역량 총동원해야 성공 가능

2024-05-23     김중곤 기자
전국 시도별 치과의사 수. 그래픽=김연아 기자. 

[충청투데이 김중곤 기자] 수면 아래로 꺼진 충남대 치과대학 설립이 다시 동력을 얻으려면 무엇보다 지역사회에서부터 공감대를 얻어야 한다.

치대 설립을 본격적으로 추진했던 지난해 말에는 지자체, 치과계 없이 충남대만 목소리를 높이면서 파급력이 오래가지 못했기 때문이다.

23일 대전지역 대학가, 치과계 등에 따르면 충남대 치대 설립 움직임은 지난해 11월 29일 학교가 교육부와 보건복지부에 설립 요청서를 제출한 단계에서 사실상 멈췄다.


전국 의대 정원 증원, 총장 변경, 글로컬대학30 본지정 사활 추진 등 각종 대형 이슈가 충남대를 둘러싸면서 치대의 불씨는 금세 꺼졌다.

하지만 충남대는 치대 설립 카드를 꺼냈던 이진숙 전 총장뿐만 아니라 지난달 공식 취임한 김정겸 현 총장도 이를 공약으로 걸었다는 점에서 결국 재추진될 사안으로 보고 있다.

치대 설립의 군불이 재점화하는 시점은 아직 미정이지만, 관건은 지역사회 내 공감대 형성이다.

이는 설립 요청서를 정부에 제출한 지난해 말 충남대가 실패했던 숙제다.

대전치과의사회는 공식 입장은 표명하지 않았지만 반대 기류가 흘렀고, 대전시는 지역 여론을 살핀다는 이유로 충남대가 내민 손을 잡지 않았다.

치대도 의대와 마찬가지로 정부가 정원을 결정하고 증원·감축, 설립·폐지의 여파가 크다 보니 변동 자체가 쉽지 않다.

충남대뿐만 아니라 지자체, 의료계, 정치권 등 지역 역량을 총동원하지 않으면 설립 움직임이 지난해처럼 금방 표류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지역이 한 목소리를 내기 위해선 치대를 설립하려는 충남대가 치과계를 설득할 수 있는 논리, 충청권 국립 치대의 당위성을 보강할 필요가 있다.

당초 충남대는 대전·세종지역에 치대가 없어 지역인재 유출이 심하고 공공의료기관에 치과의사가 부족하다는 논리를 내세웠지만 치과계는 오히려 전국적으로 치과의사가 과잉이라며 난색을 표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HIRA빅데이터개방포털 자료를 보면 대전의 치과의사는 올해 1분기 기준 856명으로 전국 6대 광역시 중 두 번째로 적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2020년 수행한 ‘보건의료인력 종합계획 및 중장기 수급추계연구’에서 치과의사 수급 추계 상 "2035년에는 620~1만 2329명 공급 과잉이 예상"된다고 적었다.

대전치과의사회 관계자는 "대전에 원광대 치과병원이 들어와 있고 치과 개원의도 600여명이나 있다"며 "우수한 학생을 유치하는 것은 (충남대 치대 설립의) 논리가 되겠지만 인프라 부족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대전시 관계자는 "지역사회 여론을 전반적으로 파악해야 접근해야지 대학이 요구했다고 지자체가 공동으로 할 수 없다. 이렇다 보니 지난해에도 같이 추진하지 않은 것이다"고 설명했다.
 
김중곤 기자 kgony@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