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20건’ 충청권 가정집·고시원 빈대 불안
현재까지 대전 3·충남 11·충북 6건 확인 관련 민원 급증에 권익위 ‘민원 예보’ 발령 온라인 가짜 퇴치법 확산 국민 혼란 가중도 질병청 “물리·화학적 방제 병행해야 효과”
[충청투데이 김성준 기자] ‘빈대 공포’가 전국으로 확산하는 가운데 현재까지 충청지역서 20건의 빈대 발생 사례가 확인돼 지역민들의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국무조정실에 따르면 지난 26일까지 전국 지자체 등 정부에 접수된 빈대 발견 신고 502건 가운데 157건이 실제 발생 사례로 확인됐다.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19일까지 민간 업체에 접수된 신고도 82건에 달했다.
시·도별로 보면 서울에서 83건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고, 경기와 충남이 각각 29건, 11건으로 그 뒤를 이었다. 빈대가 많이 나온 장소는 가정집(24건), 고시원(6건) 순이었습니다.
충청권에서는 세종을 제외한 충남, 충북, 대전서 총 20건의 빈대 발생 사례가 확인됐다.
지난 9일 충남 아산의 한 원룸에서 빈대가 발견된 데 이어 14일 천안의 한 대학교 기숙사에서 빈대가 출몰하는 등 잇따라 빈대가 확인됐다. 지난 21일 보령의 한 가정집에서도 빈대 의심 신고가 들어와 최종 확인한 결과 빈대로 판정됐다.
충북에서는 지난 16일 충주의 한 가정집에서 빈대가 발견된 것을 시작으로 청주와 음성 가정집에서 빈대가 재차 발견되면서 현재까지 누적 발생 건수 6건을 기록했다.
대전에서는 지난 10일 서구의 가정집 2곳에서 빈대가 발견되는 등 총 3건의 발생 사례가 확인됐다.
빈대 공포가 전국으로 확산하면서 관련 민원이 폭주하고 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빈대와 관련한 민원이 1주일 새 3배 가까이 늘었다며 빈대 확산 방지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민원 예보’를 관계 기관에 발령했다고 밝혔다.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규조토 가루를 뿌리면 빈대가 사라진다는 등 근거 없는 주장까지 나오면서 국민들의 혼란은 더욱 커져가고 있다.
질병관리청이 배포한 ‘빈대 예방 대응 정보집’을 보면 빈대를 발견할 경우 스팀 고열, 진공청소기, 오염된 직물의 건조기 소독 등 물리적 방제와 안전성이 보장된 살충제 처리 등 화학적 방제를 함께 사용해야 한다.
외국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빈대 방제용 사용 승인을 받지 않은 살충제를 구매하는 사례까지 늘면서 정부가 자제를 당부하고 나섰다.
정부는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은 살충제로 인한 피해 가능성을 우려해 빈대 방제용 사용 승인을 받지 않은 살충제에 대한 판매·유통을 차단하고 있다.
김영수 사회조정실장은 “국내 안전성 검증을 거치지 않은 살충제를 해외 직구를 통해 가정에서 사용하는 것은 위험하니 자제해달라”고 말했다.
정부는 숙박시설과 목욕탕 등 전국 다중이용시설 5만 1000곳에 대한 점검을 마치고 앞으로 추가 점검을 이어갈 방침이다.
김성준 기자 juneas@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