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갔어도 상황 바뀔 건 없어"… 도민 염장 지른 김영환 충북지사
"괴산댐 월류 더 긴박하다 판단" "한두 명 사상자 발생했다 생각" 오송 희생자 합동 분향소 방문
2023-07-20 김영재 기자
[충청투데이 김영재 기자] 김영환 충북지사가 14명이 숨지고 10명이 다친 청주시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 참사 발생 닷새가 흐른 20일 공식석상에서 처음으로 유감표명을 했다.
하지만 "거기에 갔다고 해서 상황이 바뀔 것은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해 논란이 예상된다.
김 지사는 이날 오전 도청 신관 1층 민원실 앞에 마련된 희생자 합동분향소에 방문해 "사랑하는 가족을 잃고 한없는 고통을 당하고 계신 유가족들에게 진심으로 사죄 말씀 올린다"면서 고개를 숙였다.
하지만 "골든타임이 짧은 상황에서 사고가 전개됐고, 임시제방이 붕괴하는 상황에서는 어떠한 조치도 효력을(발휘하지 못하고), 생명을 구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또 "도의 최고 책임자로서 현장에 있었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더 긴박한 상황을 그때 당시에는 괴산댐 월류로 판단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켜야 하는 도지사로서 막중한 책임을 느끼고 있다"면서 "모든 문제는 유가족의 심정으로 진실을 규명하고 책임자를 밝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지난 15일 궁평2지하차도 사고 발생 약 1시간 뒤인 오전 9시44분 첫 보고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김 지사는 괴산댐 월류 현장을 들렀다가 오후 1시20분이 돼서야 지하차도 사고 현장에 도착했다.
김 지사는 이에 대해 "오전 10시 10분경 1명의 심정지와 1명의 실종이 예상된다는 얘기를 들었다"며 "한두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구나 정도로만 생각했지 엄청난 사고가 일어났다고 생각하지 못했다"고 해명했다.
한편 충북 노동시민사회단체들이 이날 충북도청 서문에서 참사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촉구하는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했다.
이들은 "이번 참사는 수차례 사전 신고와 경고가 있었음에도 충북도·청주시 등 지자체와 유관기관의 책임 회피로 발생한 중대시민재해"라면서 "참사 이후에도 당국의 책임 떠넘기기가 계속되는 가운데 유족들은 사고원인과 경위, 정부의 수습과 대응에 대한 충분한 알 권리마저 제대로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피해자(유족) 권리보장 △철저한 진상규명 △중대재해처벌법에 따른 책임자 처벌 △재발방지대책 수립 등을 요구했다.
김영재 기자 memo340@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