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간불’ 켜진 충청권 가계·기업 대출 연체율

가계대출 연체율 대전·세종·충북 오르고 충남은 그대로 중소기업대출 연체율 대전 21개월·충남 31개월만 최고치

2023-02-02     서유빈 기자
한 은행 대출창구에서 직원이 업무를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서유빈 기자] 잇따른 기준금리 인상에 충청권 가계·기업 대출 연체율이 다시 슬금슬금 오르는 모양새댜.

2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11월 기준 충청권 예금은행 가계·기업대출 연체율은 3개월 전보다 대부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먼저 가계대출 연체율은 8월과 비교해 11월 들어 동일하거나 증가했다.


지역별로 △대전 0.18%→0.21% △세종 0.08%→0.09% △충남 0.13%→0.13% △충북 0.13%→0.14% 등이다.

대전은 2021년 5월(0.21%) 이후 18개월 만에, 충북은 2020년 11월(0.14%) 이후 24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도 소폭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연체율은 1개월 이상 원리금이 연체된 대출의 비율로, 코로나19(이하 코로나) 사태 이후 지역 내 대출 연체가 늘어나는 상황이다.

지역 기업 대출 연체율은 상승폭이 더 뚜렷하다.

지난 11월 지역 기업대출 연체율은 대전 0.48%, 세종 0.07%, 충남 0.24%, 충북 0.18% 등 증가하는 추세다.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의 경우 대전과 충남이 각각 0.54%, 0.27%로 21개월, 3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2020년 4월부터 시행된 정부의 소상공인·중소기업 대출만기 연장·이자상환 유예 조치 등 각종 금융 지원이 이어지면서, 한동안 뒤로 미뤄졌던 대출 상환 문제가 고금리 시기에 본격화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코로나 사태로 대출 규모가 늘어난 가운데 지난해 기준금리가 연이어 인상되자 지역민들의 대출 상환 부담이 나날이 커지고 있는 실정. 특히 중소기업과 자영업자 등 비교적 재정 상황이 더 열악한 취약차주들의 대출 건전성이 악화되고 있다는 점도 문제다.

앞서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 전제훈 과장과 전은총 조사역은 급격한 대출 증가 및 금리 상승에 따른 채무불이행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개별 차주들의 상환능력을 고려한 미시적인 정책 대응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연구 보고서에서 전제훈 과장은 "장기간의 코로나 금융지원으로 그동안 자영업자의 잠재부실이 이연·누증됐을 가능성이 있는 가운데 대출금리 상승에 따른 원리금 상환 부담 증가, 경기둔화에 따른 소득여건 악화로 잠재부실이 현실화될 위험이 상존한다"며 "금리조정, 상환 스케줄 조절 등을 통해 채무구조를 개선하는 한편 과도한 대출원금 부담으로 상환을 포기한 차주들에 대해서는 채무조정을 통해 적절한 상환을 유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서유빈 기자 syb@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