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 핵심사업 추렸다… 청주공항 활주로 확충 등 포함

국감종료 후 ‘예산전’ 본격화 내륙고속화도로 반영 포인트

2022-10-17     이민기 기자

[충청투데이 이민기 기자] 충북도는 청주국제공항 활주로 확충 등 10건을 주요사업으로 꼽고 2023년 정부예산안에 반영할 계획이다. 예산반영전은 국회 국정감사가 종료(24일)된 이후 본격화할 전망이다.

17일 충북도와 정치권에 따르면 첫 번째 주요사업은 충북도 제2청사 신축 국비지원이다. 현 도청사는 지난 1937년 건축해 85년이 경과한 건물로 공공청사 기준면적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타 광역시·도의 사례를 감안해 926억원(신규, 건립 총사업비 981억원)을 반영해 달라는 게 충북도 등의 주장이다. 앞서 세종시(2015년 1109억원)와 전남도(2005년 1923억원)는 청사신축비를 전액 지원받았다.

두 번째 사업은 충청내륙고속화도로(1~4공구, 총사업비 8827억원) 건설이다. 전국 광역시도 중 충북, 제주만 제1·2도시를 연결하는 고속도로가 없다는 이유에서 추진되고 있다. 내년도 예산으로 정부안에 공사비 1221억원이 반영됐고 국회 예산심사 과정에서 981억을 증액할 계획이다. 이 사업의 공사비 증액 크기가 국회 예산반영전의 ‘포인트’로 꼽힌다.


세 번째는 행복도시~청주국제공항 연결도로 건설(신규, 총사업비 1800억원)이다. 우선 설계용역비 21억원 반영이 목표다. 충북도의 한 관계자는 "세종시는 세계 행정도시 중 유일하게 관문공항을 연결하는 고속도로가 없다"고 개탄했다.

청주공항~제천 봉양을 연결하는 충북선철도 고속화 사업(총사업비 1조 2807억원 가운데 기투자 444억원)은 정부안에 87억원 반영에 그쳤다. 국회 증액 목표액은 655억원이다.

청주공항 활주로 확충(신규, 총사업비 2100억원)을 통해 민간항공기의 안전한 이·착륙 유도 및 이용객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게 충북도 등의 일관된 주장이다. 정부안에 ‘0원’을 기록했다. 충북도는 일단 사전타당성조사 용역비 10억원 반영으로 국비 투입의 물꼬를 틀 계획이다.

이와 함께 △국립소방병원 건립 △바이오의약품 생산 전문인력 양성센터 건립(신규) △충주 국가정원 조성(신규)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사업 △해안 및 내륙권 발전사업(신규) 등이 주요사업 리스트에 이름을 올렸다. 이런 가운데 바이오의약품 생산 전문인력 양성센터 건립(총사업비 175억원)과 해안 및 내륙권 발전사업(총사업비 396억원)의 국비 반영 여부에 시선이 쏠린다. 바이오의약품 업계의 한 관계자는 "2019년부터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임시시설에서 생산 전문인력 양성 사업을 시범운영하고 있으나 공급에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2023년 목표액은 설계비 5억원 반영이다. 특히 충북 레이크파크 르네상스와 직결된 해안 및 내륙권 발전사업(총사업비 396억원)에 시동을 걸수 있는 설계비 7억원 확보를 위해 충북도 등은 이미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 사업이 ‘국비종잣돈’을 마련할 경우 레이크파크 르네상스 계획 전개의 ‘신호탄’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한편 충북도는 14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국정감사를 받으면서 10건 주요사업의 국비반영을 건의했다.

이민기 기자 mgpeace21@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