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좋은 일자리' 만들어내는 것이 핵심이다

2017-08-22     충청투데이
[사설]

청년들은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한숨소리가 깊어지고, 중소기업은 직원을 구하지 못해 맥 빠진다. 일자리 수요와 일자리 공급이 일치하지 않는, 이른바 '일자리 미스매칭' 현상이 여전하다.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중소기업 일자리 정책이 봇물처럼 터지고 있음에도 넘어야 할 벽이 한둘 아니다.

대전, 세종, 충남지역 기업 올 3~6월 워크넷 기준 신규 구직건수(10만 6208건) 대비 취업건수(5만 5594건)에서도 이런 현상이 두드러진다. 취업비율이 52%에 불과하다. 일할 사람을 뽑고 싶어도 희망자가 없어 구인에 실패한 비율이 절반수준에 달한다. 적정 인력을 고용해야 정상적인 기업 활동을 할 수 있고 그래야 이윤 창출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담보할 수 있을 터인데 기초적인 고용환경이 구축돼 있지 않으니 중소기업으로선 속이 타들어갈 수밖에 없다.

구직자를 중소기업으로 유인할 만한 묘안이 부족한 탓이다. 대-중소기업간의 임금 부문 격차가 절반에 달한다. '2016년 임금근로자 연봉 분석' 자료에 따르면 대기업 정규직 근로자의 평균 연봉은 6521만원인데 반해 중소기업은 3493만원에 그친다. 사내 복지 등 기타 근무여건까지 감안하면 양극화가 여간 심각한 게 아니다. 유능한 인재를 확보하지 못하는 중소기업 입장에선 경영쇄신이나 기술력 향상에서도 뒤지는 악순환의 늪에 빠진다. 대-중소기업 간의 불공정 거래 관행 역시 시정돼야 할 핵심과제다.

일자리 대책의 핵심은 중소기업의 활성화에서 찾는 게 옳다. 중소기업은 이른바 '9988'로 지칭되고 있다. 우리나라 전체 업체수의 99%, 종업원수로는 전체의 88%를 차지하고 있을 만큼 우리 경제의 기반을 이루고 있다. 'J노믹스'로 표현되는 새정부의 경제정책에서도 공공 일자리 확대와 일자리 세제지원 확대 등의 정책을 내놓은 바 있다. 향후 민간분야에서 일자리 창출의 마중물 역할을 해내야 한다는 데 이견이 있을 수 없다.

정부의 경제패러다임이 중소기업 중심으로 바뀌면서 중소벤처기업부도 승격 신설됐다. 중소기업계에 인프라·생태계를 조성하는 방향으로 상생과 동반 성장을 지원해 나갈 방침이라고 한다. 일자리, 경쟁력 향상에 포인트가 맞춰져 있다. 중소기업중앙회도 청년 10만명 정규직 채용 운동을 전개한다고 한다. 그러나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해내느냐가 관건이다. 중소기업에서 '좋은 일자리'를 창출해내지 못하면 성공할 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