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홍철의 월요편지]<23>배재대 석좌교수

지금 우리나라 대학에서는 인문학 전공을 통합하거나 폐과하는 등 인문학의 고사가 진행 중인데, 한편에서는 인문학의 열풍이 부는 모순된 현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연세대 김상근 교수는 많은 사람들이 인문학에 관심을 갖는 것은 좋지만 자칫 ‘힐링의 도구’로 전락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으며, 정진홍 교수도 인문학이 흥행의 대상 혹은 유행의 첨병이 되는 것에 대해 역시 우려를 표명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경제 분야 인기강사 최진기 씨도 인문까지도 자본의 ‘주구’가 되는 것을 안타까워하고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분들이 우려하고 있는 점은 대체로 인문학의 정신이나 방향의 왜곡이라고 보여져 일리가 있으나 인문학이 힐링의 도구, 흥행의 대상, 또는 자본과 결합하는 것을 부정적으로 볼 것만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이로 인해 인문학 붐이 일고 있고 또 많은 인문학자나 학술단체에서 ‘인간에 대한 학문’ 본연의 정신을 탐구하기 위한 새로운 노력을 시도하고 있으며 인문학이 자칫 개인의 덕성 함양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공동체의 미래에 대한 희망을 주어야 한다고도 강조되고 있습니다.

그동안 인문학 발전을 연구한 많은 기관이 있으나, 먼저 2005년부터 매달 한 차례씩 인문학 조찬 특강인 ‘메디치 21’을 주최한 삼성경제연구소의 노력을 높이 평가하고 싶습니다. 매회 수많은 청중이 모였고, 그 결과를 묶어 정진홍 교수는 ‘인문의 숲에서 경영을 만나다’ 1, 2, 3권을 연이어 출판했습니다. 이 책에서는 동서양의 고전을 일상의 삶과 결부하여 다양한 소양이나 지혜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또 하나의 노력은 ‘재단법인 플라톤 아카데미’의 출범입니다. 2010년에 공익재단으로 설립된 플라톤 아카데미는 연세대, 서울대, 경희대, 고려대를 순회하면서 매회 1000~2000명 이상의 청중이 모여 동양고전, 서양고전, ‘나는 누구인가’, ‘어떻게 살 것인가’, ‘어떻게 죽을 것인가’ 등의 강좌를 진행하였고, 그것을 ‘플라톤 아카데미 총서’로 발간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젊은이들에게 인기가 많은 강신주, 고미숙, 박웅현, 이지성 씨 등 비교적 젊은 작가들의 강의 동영상과 출판물들은 인문학 붐을 일으키는데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그 결과, 이제는 소도시에서도 인문학 학술동아리나 인문학 교실 등의 활동을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이런 분위기에서, 평소 제가 인문학을 강조하는 것을 알게 된 학생들이나 주변인들로부터 ‘무슨 책을 먼저 읽는 것이 좋으냐’는 질문을 자주 받습니다. 그분들에게 저는 고전소설을 먼저 읽으라고 권고합니다. 철학 서적은 이론적, 개념적, 논쟁적임에 반해 소설은 삶의 구체적인 이야기이기 때문에 손쉽게 접근할 수가 있고 철학, 심리학, 사회학, 역사학, 인류학 등 모든 분야가 녹아 있습니다. 안상현 씨의 ‘인문학 공부법’에 의하면 소설의 유형은 스토리 위주, 아름다운 문장 위주, 그리고 새로운 삶의 방식을 고민하게 해주는 내용 위주로 읽어야 하는 책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물론 이 세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 소설도 있지만, 때로 한 소설에 세 가지가 결합되어 있기도 합니다. 한 작가가 평생을 고민한 삶에 대한 가치들이 주인공의 말을 통해서 간결하고 집중적으로 드러나는데 이 얼마나 소중한 가르침인가요?

수많은 소설이 있지만 그동안 제가 읽고 감명 받은 몇 개의 소설을 소개하면, 톨스토이의 ‘안나 카레니나’, ‘부활’, 셰익스피어의 ‘햄릿’,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그리스인 조르바’, 밀란 쿤데라의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헤세의 ‘데미안’, 빅토로 위고의 ‘레 미제라블’, 우리나라 작가로는 조정래의 ‘정글만리’, 김훈의 ‘남한산성’ 그리고 오래된 단편이지만 고교시절 저에게 깊은 감동을 준 최인훈의 ‘광장’까지 깊어가는 가을에 일독을 권하고 싶습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